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각판이 없는곳에서는 지진에 대해서는 안전하다고 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각판이 없는 곳에서도 지진은 발생할수 있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판 경계에서 ㅁ낳이 발생하는것이지요~ 지진은 판 경계에서 발생하는데 충돌 미끄러짐 등의 현상으로 나타나며 발산형경계, 수렴형경계, 보존형경계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이외에도 단층활동으로 인해 지각판 내부에서 크고 작은 단층이 응력을 축적하고 지진을 일으킬수 있는 환경을 갖추게 하는데 이로 인해 우리는 지진의 피해를 받게 되는것이지요. 또한 화산활동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여러개의 단층이 있기에 최근에도 지속적으로 지진이 일어나기도 하였찌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해일로 인해 발생하는 침수 피해와 해안 방어벽이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 사례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2011년 3월 11일 ㄷㅇ일본 대지진은 규모 9.0 의 강진으로 대규모 해일이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로인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가 침수되었고 심각한 방사능 유출 사고가 발생하게 된것이지요. 이미 동일본 대지진 당시 해안 방어벽이 많이 설치된것으로 알려져있었습니다. 이 방어벽은 약 10m높이로 설계되어있었지만 15m를 초과한 해일이 오게 되면서 무용지물이 된것이지요. 이이후 설계 기준을 재검토하였꼬 특정높이까지 ㅎ괒거인것은확인되었찌만 방어벽만으로는 모든게 다 해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비상 대피 시스템 구축, 방어벽 다층 구조 설계 등의 방법을 병행학 ㅔ된것이지요. 2004년 인도양 쓰나미는 규모 9.1~9.3의 강진으로 해일 방어시스템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준 사례로서 이때 해안 방어벽이 없던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등의 해안지역에서 대규모의 침수와 인명 피해가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이로인해 방어벽의 설치 및 조기 경보 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더 부각된 사례가 되었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