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산활동으로 인해 바다가 생겼다는 설에 대한 근거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바다 형성에 대해 여러 가설들이 잇는데 화산 폭발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고 있는 volcanic degassing 가설이 있습니다. 지구가 처음 형성될때 극도로 뜨겁고 용융된 상태였으며 이로 인해 대기와바다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지구의 표면이 냉각되고 시작했고 내부의 열이 표면으로 전달되면서 활발한 화산 활동이 리어나 지구 내부의 휘발성 물질들이 대기와 지표로 방출되며 화산활동으로 지구 내부의 맨틀과 핵에 포함된 물, 이산화탄소, 메탄, 아황산가스 등의 휘발성 물질이 방출되게 되었고 초기 지구는 매우 뜨거운 상태였으나 시간이 지나며 냉각되기 시작하고 대기중에 방출된 수증기가 응결하여 비로 내리기 시작하였고 이 비가 오랜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내리며 물이 지표에 고이게 된것이죠. 계속되는 비와 화산 활동을 통해 대기 중의 숮으기가 점점 더 응결하면서 지구의 표면에는 물이 모여 바다가 형성되었꼬 화산 활동으로 ㅏㅇ출된 이산화탄소는 지구의 온실효과를 증가시켜 표면 온도를 유지하게 하였습니다. 현대의 화산활동을 통해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것처럼, 화산 폭발시 다량의 수증기와 가스가 방출되고 이를 통해 초기 지구의 화산폭발로 대기중 많은 수증기가 방출되었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맨틀 내부에 저장된 물이 화산 활동을 통해 방출되었을거라고 추정하며 맨틀 내 휘발성 물질의 비율을 연구하면서 지구 대기에 초창기 공급되었음을 시사하고 있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은하에는 블랙홀이 몇 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수백만개에서 수억개의 블랙홀이 있는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우리 은하의 중심에는 궁수자리A라는 초거대질량 블랙홀이 있으며 태양질량으 400만배 정도로 매우 큰것으로 확인되지요. 은하 중심엔 우리 은하를 이루는 물질을 중력으로 잡아주고 있지요.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는 이와 같은 초거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하낟고 알려져있으며 우리 은하에는 다양한 질량의 별들이 존재하며, 그 중 일부는 수명이 다하면 폭발하거나 붕괴하여 항성질량 블랙홀이 됩니다. 이러한 블랙홀들은 태양 질량의 몇 배에서 수십 배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우리 은하 내에 약 1억 개의 항성질량 블랙홀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우리 은하 내에 있는 약 1,000억 개의 별들 중 일부가 블랙홀로 변했기 때문입니다. 우리 은하에는 다양한 크기와 유형의 블랙홀이 존재합니다. 초거대질량 블랙홀과 항성질량 블랙홀 외에도 중간질량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들은 아직 명확히 관측된 바가 많지 않습니다. 중간질량 블랙홀은 질량이 수백에서 수천 배인 블랙홀들로, 일부 구상성단이나 은하 주변에서 존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