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번개가 연속적으로 칠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번개는 한번 치고나도 대기중에 전하가 계속해서 남아있기에 지속적으로 번개가 치게 되는것인데 구름 속에서 강한 상승 기류와 구름 내 물방울 및 얼음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전하가 계속해서 축적됩니다. 이 과정에서 구름의 윗부분은 양전하, 아랫부분은 음전하로 나뉘고, 지면과 구름 사이에 전기적 불균형이 형성됩니다. 번개가 한 번 방전되더라도, 구름 내에는 여전히 전하가 많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첫 번개가 방전된 후에도 구름과 지면 사이의 전기적 불균형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으면, 남은 전하에 의해 연속적으로 번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번개는 하나의 방전으로 끝나지 않고, 하나의 번개가 여러 번 방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반복 방전(리더 방전)이라고 하는데, 첫 번째 번개 경로를 따라 여러 차례 전기가 흐르며 여러 번의 번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번개는 구름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고, 구름과 구름 사이에서 번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구름과 지면 사이에서 번개가 치기도 합니다. 구름 내 전하가 계속해서 형성되면 구름 간이나 지면 간에서 번개가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토성의 고리는 누가 처음 관찰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토성의 고리를 가장 먼저 관측한 사람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입니다. 그는 1610년에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토성을 관찰했습니다. 그러나 갈릴레이는 토성의 고리가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 당시의 망원경 성능으로는 토성의 고리를 선명하게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그는 토성의 고리를 두 개의 작은 천체가 붙어 있는 것으로 오인하여, 토성을 세 개의 별 또는 귀가 달린 행성으로 묘사하였지요~ 토성의 고리가 정확히 무엇인지 밝혀낸 사람은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이며 1655년에 하위헌스는 성능이 더 좋은 망원경을 사용해 토성을 관찰했고, 토성의 고리가 행성을 둘러싼 평평한 고리라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하위헌스는 이 고리가 행성에 접촉하지 않으며, 그 자체로 독립된 구조임을 설명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윌리엄 허셜이 천왕성을 발견 과정의 특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허셜은 쌍성(두 개의 별이 중력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전하는 별들)을 관측하는 것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허셜은 자신이 직접 제작한 망원경을 사용하여 쌍성을 연구하고 있었고, 이를 통해 천체의 거리와 움직임을 연구하려 했습니다. 당시 쌍성에 대한 연구는 우주의 구조와 별들의 배치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중요한 연구 주제였습니다. 허셜은 이러한 쌍성들을 연구하면서, 별들의 운동을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천체를 탐사하던 중이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1994년과 2018년 여름이 2024년 전 무더운 어름을 경험했다고 하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1994년과 2018년 여름은 한국에서 매우 무더운 여름으로 기록되었으며, 각각의 무더위는 다양한 기상 요인과 대기 순환 패턴에 의해 발생했습니다. 이 시기의 폭염은 지구 기후 변화와 특정 대기 현상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나타났습니당. 1994년은 한국 역사상 가장 더운 여름 중 하나로 기록됩니다. 그 해의 무더위는 이상 기후와 대기 순환의 변화로 인한 것이었습니다. 2018년 여름은 또한 역대급 폭염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1994년과 마찬가지로 대기 패턴과 해양 변화의 영향이 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