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노을이 빨간건 어떤것 때문에 더 빨갛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노을이 붉게 보이는것은 빛이 산란하기 때문이며 태양빛이 여러가지의 파장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긴 빨간색과 짧은 파란색 빛을 가지기에 대기를 통과하며 공기분자, 먼지, 수증기 입자 등에 의해 산란되어 붉으스름하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낮동안엔 태양이 하늘 높이 떠있기에 태양 빛이 대기를 짧은거리만 통과하게 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을 주로 산란하게 되며 하늘을 파랗게 보이게 하는것이지요. 해가 지는 시점엔 태양 빛이 대기를 비스듬하게 ㅗㅇ과하며 훨신 더 긴 거리를 통과하게 되며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거의 ㅅ ㅗ멸되고 파장이 긴 빨간색 주황색 등은 덜 산란되며 눈에 더 많이 들어오게 되는ㄱ ㅓㅅ입니다. 노을의 색은 대기중의 먼지와 입자량, 수증기와 구름, 태양의 위치, 대기 오염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이런것들이 더 많이 있으면 붉으스름한 색이 더 진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기상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여러 고해상도 기상위성을 활용하여 많은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기상패턴을 명확하게 분석하고 파악해낼수 있도록 해줘야 하며 기상레이더 등으로 강수량, 폭풍, 바람의 속도 등을 측정하여 예보의 정확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기상예보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지상 관측소나 위성, 레이더 등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이 되며 수치 예보 모델을 개선하여 기상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수 있도록 연구 하기 위해 인공지능이나 딥러닝등을 활용하면 좋을것엇 같네요~ 또한 세계의 각국 기상청들과 협력하여 여러 자료들을 좀 더 정확하고 다양하게 경험을 공유할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해야할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