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정말 미래에는 달에서 살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달에는 지구처럼 인간이 숨 쉴수 있는 대기가 없으며 따라서 미래에 달에서 살기 위해선 인공적으로 대기를 조성하거나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하며 산소를 공급받는것이 필요하지요~ 달의 중력은 지구 중력의 1/6수준이기에 장기적으로 우리가 ㅇ기 살기에는 건강에 무리가 올수 잇습니다. 근육과 뼈가 약화되거나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거나 여러가지 면에서 우리에게 큰 과제를 안겨주기도 하지요. 또한 달은 대기가 희박하여 낮에는 100도 이상 밤에는 -180도 이상의 굉장히 극명한 온도 차이를 나타내게 되는데 우리가 살기 위해선 이를 이기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거나 또한 강한 태양복사에너지를 막아줄 장비가 필요할것입니다. 무엇보다 달에는 지구처럼 자연스럽게 이용할수 있는 물이나 식량이 없기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명확학 기술력을 가져야 할것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달은 여러모로 우리 인간에게 우주의개발 등에 필요한 전초기지의 역할을 할수 있기에 아르테미스 프로그램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기지를 세우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스페이스X등 민간기업에서도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요~ 여러가지 앞에서 논거한 제약사항을 이겨낸다면 달에도 생명체가 살수 있게 되지 않을까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가을하늘에 우리나라에서 관측할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가을철에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들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맑은 가을 하늘에서 비교적 쉽게 관측할수 있으며 페가수스가 대표적인 별자리이죠. 페가수스는 사각형을 통해 네개의 밝은 별이 사각형을 이루게 되며 밤하늘에 가장 잘보이게 됩니다. 안드로메다 자리또한 잘 보이는데 망원경 없이도 흐릿하게 육안으로 관측가능하며 카시오페이아 자리가 그래도 시ㅜㅂ게 찾을수 있는 것중에 하나이지요~ W자 모ㅑㅇ이며 북그성 주변을 맴도는 별자리중 하나이기땜누이지요~ 그외에도 물고기자리, 양자리, 페르세우스 자리, 고래자리 등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씨앗은 무조건 물에 뜰까요? 전경수초 씨앗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전경수초 씨앗의 경우 물에 뿌리면 일부는 처음에 뜰수 잇지만 시간이 지나면 물이 흡수하면서 가라앉게 되지요~ 어항에 물을 채우기 전에 바닥재나 흙에 씨앗을 뿌린 뒤, 분무기로 물을 뿌려 씨앗이 흙에 잘 부착되도록 하고, 씨앗이 발아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물을 천천히 채우는게 좋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산 폭발 시 이로운 점이 뭐가 있을 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화산 폭발이 직접적으로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이로운점도 존재하게 됩니다. 화산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화산재와 용암이 우리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데 화산재와 용암이 시간이 지나면서 분해되어 토양의 영양분으로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토양에 미네랄이 풍부해 농작물 재배가 유리해지게 되며 지하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지열에너지를 활용할수 있게 되지요. 지열 발전은 환경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에너지를 생성할수 있는 청정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씁니다. 화산 활동은 지하 자원을 형성하는데도 기여하며 금속광물과 같은 자원들이 생겨나며 구리나 금 은과 같은 자원을 채굴할수 있는 조건을 만들게 해주는것이지요~ 또한 다양한 생태계가 탄생하고 다양성을 증가시킬수 있으며 훗날 이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세계의 관광객들이 모여와 경제적인 이득도 취하게 해주지요~ 또한 대규모의 화산폭발은 일시적으로 지구의 오 ㄴ도를 낮춰주기도 하며 새로운 육지를 형성하여 땅을 만들어내기도 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행성끼리 부딪힐 가능성은 얼마나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행성끼리 서로 부딪힐 확률은 극히 낮지요. 우주에서 행성들이 서로 충돌하려면 특정한 조건들이 매우 까다롭게 맞아 떨어져야 되는데 행성간의 거리 자체가 굉장히 멀리 있꼬 궤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지금까지 잘 공전하게 되는데 이를 어기기가 굉장히 어렵긴 하지요~행성들이 충돌하려며 ㄴ그들의 궤도가 매우 불안정해야 하며 태양계의 경우 각 행성들이 서로 중력에 영향을 주지만 대부분의 경우 궤도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며 궤도가 불안정해지거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궤도가 교차하게 되면 충돌할 가능성은 충분히 생기게 됩니다~행성들이 서로 충돌하려면 궤도가 매우 근접해야 하며 태양계에서 행성들 사이의 거리는 엄청나게 크기에 쉽게 충돌하지는 않게 되지용~하지만 외부에서 ㅈ우력이 작용해 행ㅅ어들의 궤도가 변경될수는 있기에 무조건 충돌을 안한다는 가정은 옳지 않으며 언젠가는 할수도 있을것이라고 볼수도 있습니다!
6266276286296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