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이 생성되는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풍이란 매우 강력한 열대성 저기압입니다. 따뜻한 해상에서(해수면으 ㅣㅇ ㅗㄴ도가 26.5도 이상) 형성되며 대기중으로 많은 양의 수증기를 공급하고 수증기가 태풍의 에너지원으로서 작용하게 되는 것이지요. 태양의 열로 따뜻해진 바닷물이 증발하며 대기로 수증기가 올라가게 되고 이 수증기가 응결하게 되면서 엄청난 양의 잠재적인 에너지를 방출시키게 합니다! 해수면 위의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면서 저기압을 만들어내게 되고 공기가 올라가면서 그 자리에 주변의 공기를 몰려오게 하고 바람을 불게 하여 저기압이 주변 공기를 끌어당기며 바람이 점차 강해질수 있도록 해줍니다~ 대기중의 바람은 회전하면서 강한 소용돌이도를 형성하고 이것들이 태풍으로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지요. 이 이후 지구의 자전으로 전향력이라는 힘이 작용해 반시계빵햐으로 북반구에서는 바람이 회전하게 되고 남반구에서는 시계로 회전을 하게 되어 소용돌이를 이루게 합니다~ 따뜻한 바다에서 올라간 수증기가 응결되면 열이 방출되면서 공기가 더욱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은 태풍이 점점 강해지게 되고 수증기가 응결되면서 잠재적인 열에 의해 에너지원이 되어 갈겨해지게 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합니다~태풍은 무역풍과 편서풍을 타고 대규모의 대기순환에 의해 이동하며 저기압을 중심으로 공기가 회전하면서 태풍을 형성하고 태풍 자체가 대기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면서 무역풍에 의해 서로 이동하면 태풍은 북쪾으로 이동하며 편서풍을 만나 동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계속 거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에너지원이 사라지게 되는 육지에 도달하거나 고위도로 움직이며 찬 바다로 움직이게 되면서 에너지원이 소멸되고 이에 따라 사라지게 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기온과 남극, 북극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남극과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되면 해수면이 즉각적으로 상승하여 표면상 보이게 될것입니다. 북극의 경우 대부분의 빙하가 바다 위에 떠 있어 녹아도 해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겠지만, 남극대륙의 빙하와그린란드의 빙하는 육지 위에 있기에 이들이 녹게 되면 바다로 많은 양의 물이 흘러 들어가며 해수면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될수도 있습니다~ 현재 추정되는 값에 의하면 그린란드의 빙하가 모두 녹으면 약 7M의 상승을 일으킬것이며 남극 대륙의 빙하가 다 녹으면 약 58M의 상승을 야기할 수 있께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저지대 해안 지역을 모두 다 침수시키고 수억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도시들이 큰 영향을 받게 되겠지요~ 저지대 지역이나 섬나라 국가들은 완전히 잠겨 이주민이 생기게 될것입니다. 빙하가 녹게 되면 기후 시스템도 변화를 야기하게 될것인데요. 극지방의 빙하가 녹게 되면서 해양 순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전 세계 기후에 변화를 가져오게 할것입니다. 극지방의 차가운 물이 녹아 바다로 흘러들어가게 되면서 해양의 열 순환에도 악 영향을 미치게 될것이며 이상 기후현상인 폭염이나 폭우 가뭄 등의 극단적인 기상현상을 야기하게 될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남극과 북극의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북극곰이나 바다표범 등의 여러 해양 생태계가 위헙해지게 될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종이로 접은 비행기로 사람이 타고 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종이는 가벼운물질이며 구조적으로 강도 또한 매우 약하지요~ 사람이 탈만한 크기의 비행기로 만들게 되더라도 비행중 발생하는 바람과 항력 등의 외부 힘을 견딪 ㅣ못하고 쉽게 부서질것입니다~ 비행기가 공기중에서 안전하게 날기 위해선 강한 재료가 있어야 하지요 종이 비행기 자체는 공중에서 가볍기에 양력을 얻어 날라갈순 있으나 사람이 타게 되면 그 무게를 가지고 움직일 수 있는 특별한 힘을 가지게 해야하는데 현실적으로 힘들게 될것이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 수돗물에서 뇌먹는 아메바 검출된 적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앚ㄱ까지 보고된 사례는 없습니다. 뇌먹는 아메바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라고 불리우며 따뜻한 담수나 제대로 소독되지 않은 수영장에서 종종 발견된다고 합니다~ 이는 급성 수막뇌염을 일으킬수 있는 위험한 존재이죠~ 우리나라에서는 수돗물의 수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으며, 수돗물은 정수 과정을 거쳐 소독되기 때문에 이런 아메바가 서식하거나 증식할 환경이 아닙니다. 다만, 해외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네글레리아 파울러리가 수돗물에서 검출된 사례가 보고된 적 있으므로, 관련 방역 및 수질 관리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호수나 이런게생기면 일반적으로 물이 빠질것같은데요 어떤작용으로 물이안빠지는건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호수나 논의 바닥에는 불투수층이라고 불리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층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불투수층은 주로 점토, 암석 또는 매우 압축된 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이 아래로 스며들지 못하게 막습니다. 물이 스며드는 속도가 매우 느리거나 거의 없기 때문에, 물이 고여 있게 되는 것이죠. 호수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호수의 바닥에도 불투수층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불투수층이 물을 막아줘서 호수의 물이 밑으로 빠지지 않고 오랫동안 고여 있게 됩니다. 논에는 농부들은 논을 만들 때 물을 오래 고이게 하기 위해 바닥을 단단하게 다져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습니다. 논의 바닥은 물이 잘 빠지지 않는 점토 같은 흙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라산의 백록담처럼, 호수가 물을 머금지 못하고 물이 빠져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백록담의 경우 바닥이 화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물이 쉽게 스며들 수 있습니다. 화산암은 다공성이 있어 물이 빠르게 스며들어 밑으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백록담에서는 물이 고이지 않고 빠져나가게 됩니다.
6666676686696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