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도 '끝'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우주는 무한히 확장된다고 할수 잇으며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으며, 그 팽창 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속되고 있습니다. 이 팽창은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의 크기를 계속해서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실제로 관측할수 있는 관측가능우주의 영역이 930억광년정도로 설정하고 있으며 빛이 우리에게 도달할 수 있는 한계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그 너머의 우주에 대해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우주의 끝을 이야기 할때 3가지의 이론이 있는데 평탄한 우주와, 구형우주, 안장형 우주로서 나타나게 되는 현상들을 이야기합니다.평탄한 우주는 무한히 확장될 수 있고, 구형 우주는 결국 자기 자신으로 돌아오는 폐쇄된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안장형 우주는 끝이 없고 계속 팽창하는 비정형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현재 관측에 따르면, 우주는 평탄한 구조에 매우 가깝다고 여겨집니다. 이에 따라 3가지의 방식으로 빅프리즈(우주의 팽창이 영원히 계속되어 모든 에너지가 분산되고,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는 극도로 추운 상태로 끝난다), 빅크런치(우주가 팽창하다가 다시 수축하여 하나의 점으로 붕괴한다), 빅립(팽창 속도가 너무 빨라져 모든 물질이 분해되고 우주가 끝난다)의 방식으로 긑이 있다고 보고있습니다~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에서 안드로메다 은하까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는 250만~260만광년 이며 우리 은하와 가장 가까운 대형 외부 은하로, 북반구 하늘에서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은하 중 하나입니다.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는 서로 점점 가까워지고 있으며, 약 40억 년 후에는 충돌하여 하나의 거대 은하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M31로도 알려져 있는 이 은하는 1조개정도의 별을 포함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기 ㄹ바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가이아 우주 망원경’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유럽우주국에서 2013년 12월 19일 발사한 가이아 우주 망원경은 우리 은하의 은하수들에 있는 별들을 지도화하고 위치, 움직임, 밝기, 색상 등을 측정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으며 은하의 3차원 지도를 작성하는데 주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이아는 약 10억 개 이상의 별들의 위치, 움직임, 그리고 밝기를 측정하고 이 관측 자료는 매우 높은 정밀도로 제공되며, 별의 위치를 밀리초각 단위로 측정하게 합니다. 이는 지구에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벌어진 일들을 감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지요~ 가이아는 광학 망원경을 통해 관측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다양한 파장에서의 데이터 수집을 하게 되며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며, 다양한 별들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매일 약 5천만 개의 개별 측정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 약 17억개 이상의 별들이 우리은하내에서 발견되었고 수많은 새로운 천체(소행성, 외계행성 등)와 다양한 천문 현상(별의 진동)을 발견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 태양계에도 소행성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양계 내에 소행성이 수백만개 있는것으로 파악되며 주로 소행성대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소행성대는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부분의 소행성이 이곳에 분포해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수많은 크고 작은 소행성들이 있으며, 그 중 가장 큰 소행성은 직경 약 940km의 세레스입니당. 소행성대 내에서 유일한 왜소행성으로 분류될만큼 크며 지구 근교에도 여러 소행성들이 지구의 궤도와 가깝게 움직이고 있ㅅ브니다~ 소행성들은 태양계 형성 초기의 잔해물로, 과학자들이 태양계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또한, 일부 소행성들은 귀중한 금속이나 물 같은 자원을 포함하고 있어, 미래의 우주 탐사 및 자원 채굴의 대상이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계에서 지금까지 관찰된 혜성들 중에서 가장 큰 혜성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양계에서 지금까지 관찰된 가장 큰 혜성으로 C/2014 UN271이라는 혜성이 가장 큰것으로 알려졍 ㅣㅆ습니다~ 대략적으로 직경이 137km이며 지금까지 관측된 혜성 중 가장 큰 크기이며, 대부분의 혜성보다 훨씬 큽니다. 일반적인 혜성의 핵 직경이 몇 킬로미터에서 수십 킬로미터인 것에 비해, 이 혜성은 매우 거대합니다. 이 혜성은 오르트 구름이라는 태양계 외곽의 먼 영역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며, 태양을 중심으로 매우 긴 궤도를 그리며 돌고 있습니다. C/2014 UN271은 약 600,000년마다 태양을 한 번 공전하며, 2031년에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도시길 바랍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