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살면서 외계 생명체를 볼수 있는 확률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현재 인간은 화성, 유로파(목성의 위성), 엔셀라두스(토성의 위성) 등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천체를 탐사하고 있습니다. 유로파와 같은 위성에서는 지하 바다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이곳에서 생명체를 탐사하기 위한 계획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탐사들은 향후 수십 년 내에 외계 미생물을 발견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지구 외부에서의 생명체 탐사는 주로 천문학적 관측과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의 탐색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새로운 망원경을 외계 행성의 대기를 분석하기도 하며 생명체의 징후를 포착하기도 합니다! 지구 밖의 생명체를 직접 관찰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지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미생물 수준의 생명체를 탐지할 가능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향후 10~20년 안에 기술이 더 발전하면, 더 나은 탐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잇습니다! 날이 덥네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인간이 사용하는 물은 왜 부족한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물 중 약 97%는 바다에 있는 해수이며, 나머지 3% 정도만이 담수(민물)입니다. 이 3%의 담수 중에서도 약 70%는 빙하 or 만년설로 존재하며, 지하수와 호수, 강, 대기 중의 수증기 등으로 인간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약 1%에 불과하게 되지용! 지구의 전체 물의 양은 크지만 인간이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한정적이게 되는것이지요! 또한 물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어떤 지역은 풍부한 수자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어떤 지역은 매우 건조하고 물이 부족하게 되는것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 패턴이 변화하면서 전통적으로 물이 풍부했던 지역에서도 가뭄이 자주 발생할수 있기에 물부족은 더욱 심화되게 됩니다! 인간 활동으로 인해 강과 호수, 지하수의 오염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농업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산업 폐수, 도시의 생활 폐기물 등이 수질을 악화시키며, 이로 인해 사용 가능한 깨끗한 물의 양이 줄어듭니다.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데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많은 지역에서 지하수는 농업과 도시의 주요 물 공급원입니다. 그러나 지하수가 지속 가능한 속도로 보충되지 않고 과도하게 추출될 경우, 지하수층이 고갈되어 물 부족 문제가 발생합니다. 물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거나 낭비하는 경우도 물 부족의 원인이 됩니다. 누수, 불필요한 물 사용, 농업에서의 비효율적인 관개 시스템 등이 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됩니당! 또한 세계 의인가구 80억명이상으로 증가하면서 물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농업, 산업, 생활에 필요한 물을 사용하게 되면서, 기존의 물 자원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가뭄이 더욱 빈번해지거나, 강수량이 극단적으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지역적인 물 부족 문제를 악화시킵니다. 날이 너무 더워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초창기별들은 크기가 엄청컷나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빅뱅 직후 수억년 내에 형성된 최초의 별들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별보다는 더 컸을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기 우주에는 금속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며 금속이 부족한 환경에서 별이 쉽게 형성되기 어려웠고 형성되더라도 큰 질량을 가진 별들만 생성되었을것으로 추측하고 있는 것이지요! 대략적으로 수십~수백배 태양질량을 가졌을것으로 보고 있으며 매우 뜨거웠고 수명이 짧아 수백만년~수천만년 내에 초신성 폭발로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초기 우주에서는 물질의 밀도가 현재보다 더 높았기 때문에, 별들의 형성이 더 활발하게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별들은 대체로 매우 크고 밝아서 지금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별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졌습니다. 또한 별들의 크기와 행성에서의 생명체 크기 사이에는 크게 영향이 없고 주로 중력이나 대기의 조성에 의해서 달라지게 됩니다! 1세대 별들은 매우 뜨겁고 불안정했기에 그 주변을 도는 행성에서 생명체가 존재하기에는 부적절했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별들은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들(금속)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별의 형성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초기 우주의 별들은 금속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매우 다르게 형성되고 진화하게 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주의 금속 함량이 증가하면서, 현재의 별들은 초기 우주의 별들보다 작고 덜 극단적인 질량 분포를 가지게 된것입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