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한선옥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전문가입니다.
한선옥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2월 17일 작성 됨
Q.
바다물은 영하의 기온에도 잘 얼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순수한 물은 1기압하에서 0도에서 얼어요바닷물은 속에 염분 미네랄 등 많은 물질이 녹아 있어요혼합물은 0도이하에서 얼어요 이것을 빙점강하 라고 합니다
물리
2022년 2월 17일 작성 됨
Q.
겨울, 여름 같은 운동량에 따른 열량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추울때는 근육이 긴장을하고요 더울때는 근육이 이완됩니다너무더워도 너무추워도 달리기 하는데는 능률이 떨어집니다단순히 숫자로 나타내는것은 어렵지만너무춥거나 너무덥거나 운동량에 따른 열량소비가 많아 질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2월 17일 작성 됨
Q.
화산의 생성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마그마, 화산 폭발의 직접적인 원인! 땅속 깊은 곳에서 흐르고 있는 마그마는 지각의 약한 부분을 뚫고 조금씩 올라옵니다이 과정에서 마그마가 응축되고 내부 압력이 높아져 결국 지표면 밖으로 분출하게 됩니다.이것이 화산입니다마그마는 판과 판이 충돌하여 하나의 판이 다른 판 아래로 들어가는 ‘섭입 현상’에 의해 생성된다고 하는데요. 해양판과 대륙판이 만났을 때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해양판이 아래로 깔려 내려가게 됩니다. 해양판이 지하 100km 부근까지 내려가면 고온과 고압 때문에 물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는데요.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암석은 땅속의 높은 온도와 압력에 의해 녹아버리고 결국 마그마가 되는 것입니다.얼마전에 필리핀 다카이따이 화산이 폭발했을때 그주변에 있었습니다화산재가 날라서 공기와 마찰에 의 해 밤에는 불꽃이 떨어지고요 유황냄새와 화산쇄설물(돌과 먼지)가 막 날라다니고 화산재로 마치 눈이 온것처럼 마을과 도시 산을 덮쳤습니다비행기는 물론 날지 못하고요 외출도 금지 했어요자연재해라 화산이 폭발하면 그주변은 정말 초도화 됩니다
생물·생명
2022년 2월 17일 작성 됨
Q.
다리떨면 복 나간다는데 다리떨면 좋다고 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다리를 떨면 일단 옆에있는사람들이 보기에 좋지 않아 복이 나간다고 말을 한것 같습니다다리를 떨면 근육이 운동을 하여 에너지를 적절히 소모하여 건강에 좋아 진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불안할때는 다리 뿐만 아니라 전신이 떨려요그러니 침착하고 조요하게 차분하게 생활해보시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2월 17일 작성 됨
Q.
지구 자기장에 대하여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자기장은 지구가 그자체가 자석이기 때문입니다북극 남극이 있는것도 자석인것 때문이지요지구에서 나침반을 사용하면 북극과 남극을 가리키는데 지구는 북쪽이 s극 남쪽이 n 극입니다지구가 자석인 이유는 지구내부에 외핵이 액체로 되어 있는데 지구의 자전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자기장(자석의 세기가 미치는 범위) 이 형성됩니다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알수없고앞으로 더많이 연구해야할 과제입니다
화학
2022년 2월 16일 작성 됨
Q.
주전자에서 물이 끓을 때 주전자 속 물을 100도 일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주전자의 물을 가열하면 100도가 되먼 끓어요 액체가 기체로 되는 것을 기화라고 하는데 기화에는 증발과 끓음이 있습니다증발은 액체의 표면에서 기체로 되는 것이고끓음은 액체의 내부에서 기체로 되는 것입니다물이 끓을 때 내부의 온도도 100도 정도라고 보면 될것같습니다사실 실험실에서 물을 실제로 끓이면 100도에서 거의 끓지 않고 100도 이하에 서 끓어요(1기압)이라고 가정 했을 때그러니 끓은은 액체의내부의 온도가 100도라고 보면 될것 같아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2월 16일 작성 됨
Q.
햇빛을 돋보기로 모을 수 있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돋보기는 볼록렌즈 입니다'볼록렌즈는 빛을 모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볼록렌즈로 모인 햋빛은 종이를 태우기 아주 적당합니다눈에 볼록렌즈이 촛점으로 만들어 진 태양빛을 본다면 매우 위험합니다오목거울이나 유로로 해도 빛을 모을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2월 16일 작성 됨
Q.
별똥별이 떨어지면서 불에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별똥별은 우주에 있는 별들이 떨어지는 것인데 떨어지다가 대기권에 들어오면 공기와의 마찰로 인해 마찰열로 불이 붙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수증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적당량의 수증기는 불꽃을 더 잘 만들어 줄수 있습니다석탄난로에도 가끔씩 물을 부어 불이 더 잘 타오르게 함니다
화학공학
2022년 2월 16일 작성 됨
Q.
기름과 물이 서로 섞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은 물과 섞이지않는이유는 물은 친수성이고 기름은 친유성이기때문입니다같은성질을 가진 것들끼리 서로 섞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2월 16일 작성 됨
Q.
눈 오는 날이 따뜻한 이유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합박눈이 온날이 따뜻한 이유는 눈으로 인해 바람이 덜불게 되어 추위가 덜 느껴지는 것도 있고요함박눈은 온도가 비교적높은 온대지방에서 상층의 온도가 그다지 낮지 않은곳에서 습기가 많은 눈이기 때문에 함박눈이 온날은 비교적 따뜻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가루눈인 싸락눈은기온이 낮은 한대지방의 상층으로 부터 만들어져서 지표면 부근 까지 내리는 눈으로 기온이 매우 낮은 곳에서 만들어 졌기 때문에 결정이 서로 부딪쳐도 달라붙지 않고 내립니다눈은 상층 대기의 온도분포에 따라 그성질이 달라지기 때 문에온도가 높을 때 내리는 함박눈이 내리면 기온이 포근한것입니다하지만 싸리눈이 내린날은 습도와 기온이 낮을때 만들어 지는눈으로 싸락눈이 온날은 춥습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