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도교는 불교나 기독교같은 하나의 종교로 정착되지않았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외에도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동남아 지역과 화교의 세가 매우 강한 지역에서는 도교의 사원 또는 도교와 관련된 장식을 민간 건물 내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이상할 만큼 기세를 못 펴는 종교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재래의 토착 제천신앙/신선 사상과, 이미 토착신앙과 융화를 이루던 불교에 흡수되었고, 일본에서는 음양도와 슈겐도 형성에 일부 영향을 끼치긴 했지만 도교 자체가 특별히 독립교단으로 출현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한국과 일본의 불교와 민간신앙에는 의외로 꽤 많은 도교적 요소들이 녹아 있다.
Q. 가톨릭의 그레고리오 성가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레고리오 성가는 중세부터 기독교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던 단성 전례음악으로 오늘날까지도 가톨릭에서 쓰이는데, 모든 서양 음악의 기초라 할 만하다.명칭은 교황 그레고리오 1세(540년 출생 - 604년 사망)에서 유래하였다. 성가 3천 곡 이상이 전하는데, 당시 존재하던 다양한 성가들을 집대성해 정리한 것이다. 그레고리오 성가 전에도 여러 지역에 비잔틴 성가, 암브로시오 성가, 모차라비아 성가 등 독자적인 성가들이 있었는데, 교회의 중앙 집권화를 위해 교황들은 당시 유럽의 전례음악들을 통합시키고자 성가를 수집, 통합하고 집대성하는 작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작업이 비로소 그레고리오 1세 때 완성된 것이다. 그러나 그의 사후에도 성가 통합, 개혁작업은 계속 진행되었다.
Q. 중세 유럽 음악 이론은 어떻게 발전하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 음악은 교회를 모태로 해서 탄생했다. 이중 주목할 만한 인물은 성 베네딕토로 그가 남긴 회칙에 의해 성무일도의 음악이 비교적 확립되었다. 또한 재속 사제들은 중세 시대의 중요한 음악가들이었으며, 그들은 음악을 담당하고, 필사본을 만들고 성가대를 지휘하였다. 중세의 음악 뿐 아니라 역사 자체도 기독교와 떼어놓을 수 없을 정도로 연결되어있다. 기보법이나 음계, 다성음악 등은 교회음악으로부터 발전된 것이고 뛰어난 음악 이론가들이나 작곡가들은 대부분 사제였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중세음악 중 교회음악은 가장 잘 보존되어있으며 또 음악의 초기 역사를 같이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Q. 냉전시대 언제동안 지속되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냉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부터 소련 붕괴가 일어나기 전인 1991년까지 미국과 소련을 비롯한 양측 동맹국 사이에서 갈등, 긴장, 경쟁 상태가 이어진 대립 시기를 말한다.미국을 필두로 서유럽의 영국, 프랑스, 서독등과 대한민국, 일본, 대만등의 자유진영, 그리고 소련을 중심으로 동유럽의 동독, 폴란드 인민 공화국, 헝가리 인민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등과 북한, 중화인민공화국등의 공산진영이 대립하였다.
Q.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가야고분군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야고분군은 대한민국 남부에 위치한 김해 대성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합천 옥전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고분군의 7개 유산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대한민국에는 가야와 관련된 고분군이 780여 개소 분포하고 있으며, 이 고분군에 축조된 고분의 수는 수십 만기에 달한다. 중앙집권화 된 국가체계를 이루지 않고 공존하였던 가야의 각 정치체는 지역마다 크고 작은 고분군을 조성하였다. 이 고분군들은 기원전후한 시기부터 대가야가 멸망하는 562년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