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이 당시 조선이라는 이름을 국호로 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조 이성계는 즉위 후 즉위 교서를 통해 '나라 이름은 이전대로 고려(高麗)라 한다'고 밝히고, 명나라를 정벌하려던 고려 왕조와는 다르게 명나라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겉으로는 제후국으로서 명나라에 새 나라의 개국과 태조의 즉위를 알리는 내용의 사절을 보낸다. 이때 명은 새 나라의 국호는 무엇으로 고쳤는지를 되묻는데, 이에 조선은 백관을 도당에 모아두고 국호를 논의해 고려라는 국호를 고집하는 대신 이성계의 고향인 '화령(和寧)'과 고대에 존재하였던 국가명인 '조선(朝鮮)' 중에 하나를 택하여 달라고 청하고, 명이 '조선'을 택하여 국호가 확정되었다.
Q. 마리 앙투아네트는 정말 사치가 심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리 앙투아네튼는 실제 도박을 했고, 밤새 연극을 보거나 무도회를 보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당시 귀족 사교계의 문화 중 하나로, 사교계에서 이러한 문화를 즐기지 않으면, '교양이 없는 무식한 인간'으로 폄하되거나, '파티에 참석조차 못할 정도로 가난하다'라는 오명이 붙어 무시당하기 일수였죠. 물론 그녀가 어쩔 수 없이 도박을 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실제 그녀는 도박을 좋아해서 빚을 지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마리 앙투아네트가 사치스러운 생활을 한다고 비난을 받을 때에도 그녀가 썼던 돈의 양을 보면 다른 왕족뿐 아니라 귀족과 비교해도 적은 편이었죠. 프랑스 왕족에서 소박한 이미지인 루이 16세보다 지출이 적었다고 합니다. 마리 앙투아네트의 사치에 대한 일화로 그녀의 정원개축을 꼽는 이들도 있는데요. 당시 그녀가 정원을 개축하는데 쓴 돈은 약 20만 리브르정도로, 같은 시기 왕의 동생인 프로방스 백작이 궁전을 개축하는 데 쓴 돈의 1/5가량에 불과하죠. 또한 그녀는 정원개축 당시 루이 15세의 애인이었던 뒤바리 부인이 썼던 가구를 가져다가 썼다고 합니다. 그녀의 사치는 역대 왕비들과 비교했을 때 오히려 수수했죠. 물론 역대 프랑스 왕비들과 비교했을 경우이며, 당시 프랑스의 재정상태가 최악이었던 것을 감안했을 때 '사치'를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Q. ' 은폐된 증거(Suppressed Evidence)의 오류'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은폐된 증거의 오류는 결론의 참, 거짓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다른 전제를 무시하는 경우 발생합니다.즉, 전제(다른 결론이나 결론의 부정을 지지하는 강한 증거를 무시하는 경우)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전제를 무시하는 행위 자체가 오류라는 뜻입니다.예문은 다음과 같이 들수 있습니다.“이 중고노트북은 보시다시피 생활기스도 없어 거의 신품에 가깝고, 성능도 아주 뛰어나며, 가격대비 만족도가 아주 높을 것입니다.” (여기서 무시된 전제는 노트북이 고장이 잦아서 서비스센터에 자주 찾아가야함)
Q. 인도의 쿠샨 왕조는 어떻게 멸망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3세기 초 파르티아를 멸망시키고 이란을 장악한 사산 왕조는 쿠샨 왕조에 대해 적극적인 공세를 펼쳤고, 결국 260년대에는 토하리스탄과 힌두쿠시 산맥의 거의 대부분이 함락되었다. 사산 왕조는 이 지역을 '쿠샨국'(Kushanshahr)이라 부르고, '쿠샨왕'(Kushanshah)이라고 이름붙인 분봉왕들을 세워 지배했다.중앙아시아와 인도 지역에는 그 뒤에도 쿠샨 제국의 잔당들이 남아 있었지만 별다른 힘을 쓰지 못하고 이름만 남아 연명했다. 결국 중앙아시아 지방의 분파는 기원이 불분명한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족인 키다라인(Kidarites)들에게, 북인도 지방의 분파는 인도에서 일어난 굽타 왕조에게 각각 복속되어 370년대에 완전히 멸망했다.
Q. 인도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힌두교의 기원과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힌두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한 다양한 종교 전통들을 포괄하는 낱말이다. 역사적으로, 힌두교는 철기 시대 이래의 인도 종교들의 발달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이러한 힌두교 역사의 실질적인 출발점이 되는 철기 시대 인도의 베다 종교, 즉 브라만교는 그 기원이 청동기 시대 인더스 문명의 종교와 같은 선사시대 종교에 있다.'힌두(Hindū)'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로 '거대한 물'을 가리키는 단어인 '신두(Sindhu)'에서 유래했다. '거대한 물'이란 '바다'나 '큰 강'을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신두'가 가리키는 '큰 강'은 바로 4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인 인더스 강이다.힌두교는 여러 신들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는 다신교적 일신교(택일신교 또는 일신숭배)로서, 교주(敎主) 즉 특정한 종교적 창시자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힌두교의 기본 교의는 우주의 법칙과 인간의 윤회를 근간으로 한다. 힌두교의 교의를 이루는 기본 개념들은 대부분 이후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인도에서 발원한 다른 종교에 도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