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홍기윤 전문가
LG디스플레이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학문
자격증
주식·가상화폐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CBDC가 비트코인과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앙은행을 뜻하는 'Central Bank'와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를 합친 용어로, 비트코인 등 민간 가상화폐와 달리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화폐를 뜻합니다.
경제동향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미국의 코어CPI는 무슨 수치를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항목에 대한 지수를 의미합니다.코어CPI가 중요한 이유는 식품이나 에너지같은 변동성이 큰 항목을 제외하여 인플레이션이 장기화가 될것인지 단기적일지 판단하는데 활용하게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5월 13일 작성 됨
Q.
sell in may 라는 주식의 격언은 어떻게 나온 말 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9세기 영국에서 나온 말로 5월에 주식을 팔고 여름휴가를 떠나라는의미로 역사적으로 봤을때 5~10월간 투자시장이 좋지 않았음을 말합니다
경제용어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명목소득은 화폐금액으로 표기된 소득이고 실질소득은 명목소득을 당해 연도 물가로 나눈 값이다. 명목소득은 화폐금액 단위로 표기되기 때문에 측정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소득의 구매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득이 갖는 실제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당해 연도 물가로 나눠 실제 재화나 서비스 몇 단위를 구매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것이 실질소득이다. 따라서 일정 기간 동인 소득 변화로 생활 형편이 개선됐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질소득을 비교해야 한다. 가령 기준 연도에 매월 500만원의 명목임금을 받던 사람이 현재 600만원을 받고 있다고 해도 생활수준이 실제로 개선됐다고 단정할 수 없다. 기준 연도에 비해 명목임금이 20% 상승했으므로 물가가 기준 연도에 비해 20%보다 적게 상승했다면 실질소득은 증가한 것이고 20%보다 많이 상승했으면 감소한 것이다. 또한 20%만큼 상승했다면 실질소득은 동일한 것이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5월 12일 작성 됨
Q.
펀드 손실로 인해 가입한 펀드 해지 가능한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인 펀드는 언제든지 해지할수 있는것입니다. 혹시 펀드계약서를 보시고 다른조건이 있는지 확인하시고, 펀드 환매 조치를 하시면 됩니다. 원금의 손실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