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전문가입니다.

홍기윤 전문가
LG디스플레이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태화개입은 어떤한 뜻으로 사용되어지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태화개입은 해외부문으로부터 외국 자본의 유입이 증가해 국내시장에 유동성이 공급될 경우 개입하지 않고 그대로 내버려두는 것을 말합니다.각국의 정부는 자국통화 가치의 하락을 유도해 수출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데 그러한 노력의 일환인 태화개입은 늘어나는 통화량을 그대로 방치해 중장기적으로 통화량 증가에 따른 원화절하 효과를 지속시킴으로써 통화절상 압력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꼽히지만, 물가상승과 자산버블을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트리핀 딜레마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현행 국제금융시스템의 근본적 모순을 뜻하는 용어로 예일대 교수였던 로버트 트리핀이 1960년대 주장한 내용으로 이럴수도 저럴수도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을 지칭합니다.달러화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대외거래에서의 적자를 발생시켜 국외에 끊임없이 유동성을 공급해야 하는데, 미국의 적자상태가 장기간 지속될경우에는 유동성이 과잉돼 달러화의 가치는 흔들릴 수밖에 없게 됩니다. 반면 미국이 대외거래에서 장기간 흑자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달러화의 가치는 안정시킬 수 있으나 국제무역과 자본거래를 제약할 수 있습니다. 적자와 흑자의 상황에도 연출될 수 밖에 없는 달러화의 이럴수도 저럴수도 없는 모순을 가리켜 트리핀 딜레마 라고 합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이제 성년이된 아이의 신용점수를 올리려면 어떤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현재의 금융상황이나 활동을 어떻게 하는지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나, 당장은 정보가 없으므로 보통의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먼저 주거래은행을 만들고 꾸준히 거래를 하는거 필요하구요1.통신비나 공과금 성실납부2.연체금지, 카드대금,공과금,대출이자 등의 연체가 없이 관리하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연체가 발생할 경우 최소1~4일 내에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3.신용카드 한도액 조정, 신용카드 한도액의 ~50%정도 사용할것을 권장합니다. 신용카드 한도를 모두 사용하면 신용평가 기관에서는 여윳돈이 부족한 사람으로 보기 때문입니다.4.신용카드 대금 일시불로 계산, 할부를 고금리대출로 볼수 있습니다.5.체크카드 사용하기, 현금보다는 체크카드를 쓰는것이 거래실적을 올려서 신용점수에 유리하게 작용합니다.6.본인 이름으로 예적금 가입하고 꾸준하게 불입하면 자금운영능력 평가가 상승하게 됩니다.7.1,2금융권 대출을 이용하고, 카드현금서비스,리볼빙은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으며,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어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상기사항을 유의해서 건전하고 꾸준히 금융거래를 지속한다면 신용점수가 올라 갈 겁니다.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현재 최저임금은 얼마로 책정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최저임금제는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데요. 2022년 최저임금은 9,160원이었고, 2023년은 5%인상된 9,620원입니다. 노동부장관은 다음년도 최저임금을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매년 8월5일까지 결정하여 지체없이 고시하여야 합니다.고시된 최저임금은 다음년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효력이 발생합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지니계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무슨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국민들의 생활수준과 소득분배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GDP나 1인당GNI는 보통 한나라의 국력이나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말할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나, 소득이 사회 각 계층에 얼마나 고루 분배되고 있는지는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국민들의 삶의 수준을 더 잘 알기 위해서는 소득분배에 관한 여러가지 지표가 필요합니다.대표적인 소득분배지표로 지니계수 가 있습니다. 이지표는 소득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소득이 어느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지를 알려줍니다. 지니계수는 0부터 1까지의 수치로 표현되는데 값이 0 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 에 근접할수록 불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지니계수는 로렌츠곡선(인구의 누적 비율과 소득의 누적 비율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한것)과 완전균등선이 이루는 불평등면적과 완전균등선 이하의 면적을 대비시킨 비울로 작성됩니다.보통 0.4가 넘으면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가 심한것으로 봅니다.통계청에서 발표한 우리나라의 지니계수는 2020년 기준 0.331 이네요.
2212222232242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