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하이포아염소산은 HCLO이고 아염소산은 HCLO2인데 산소 한개 차이로 특성이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은 전문가입니다.하이포아염소산(HClO)과 아염소산(HClO₂)은 모두 염소를 포함한 산이지만, 각각 산소 원자 수가 달라 그 특성도 다릅니다. HClO는 염소가 +1의 산화 상태에 있으며, 약한 산성과 산화력을 지니고 있어 살균과 소독에 사용됩니다. 반면, HClO₂는 염소가 +3의 산화 상태로 더 강한 산성과 산화력을 가지지만, 불안정하여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주로 특정 공정에서만 사용됩니다. 산소 원자 하나의 차이는 이들 화합물의 화학적 반응성과 용도를 크게 달라지게 합니다.
Q. 생수 밖에서 보관하던것 샀는데 먹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정은 전문가입니다.직사광선을 오래 받았던 생수를 섭취하는 것에 대해 걱정이 되는 상황이네요. 일반적으로, 생수는 페트병으로 포장되어 있으며, 이 병은 뜨거운 온도에 오래 노출되면 플라스틱에서 화학 물질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물의 안전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특히, 생수가 고온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플라스틱에서 비스페놀 A(BPA)나 프탈레이트와 같은 유해 물질이 물로 용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비록 소량이라도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이미 약간 섭취해보셨고 이상이 없다고 느꼈더라도, 만약 물을 마신 후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 조언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향후에는 생수를 구입할 때 보관 상태를 확인하고, 가능한 한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염색을 자주하면 머리두피와 머리카락에 어떤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은 전문가입니다.염색을 자주 하면 머리카락과 두피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머리카락은 화학 물질로 인해 건조하고 푸석해지며, 쉽게 끊어지거나 갈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잦은 염색으로 인해 모발의 색상이 쉽게 퇴색하거나 변할 수 있습니다. 두피에는 화학 물질이 자극을 주어 가려움증, 건조증, 또는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색 후에는 적절한 케어와 보호가 필요합니다.
Q. 나트륨 금속은 위험하지만 소금의 나트륨 이온은 안전한 이유
안녕하세요. 박정은 전문가입니다.나트륨 금속(Na)과 나트륨 이온(Na⁺)의 차이는 전자 구조와 화학적 특성에서 비롯됩니다. 나트륨 금속은 원자 하나당 하나의 자유 전자를 가지며, 이 전자는 쉽게 방출되어 나트륨 이온이 됩니다. 나트륨 금속은 물과 반응할 때 매우 반응성이 크며, 빠르게 나트륨 이온과 수산화 나트륨을 형성하고 수소 가스를 방출합니다. 이 반응은 발열 반응으로, 폭발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반면에, 나트륨 이온은 전자를 잃고 안정된 전자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입니다. 나트륨 이온은 주로 염화나트륨(NaCl)과 같은 염 형태로 존재하며,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안전한 물질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전자 한 개의 유무가 나트륨의 화학적 성질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Q. 원소기호의 경우 새롭게 발견될때마다 추가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정은 전문가입니다.네, 새로운 원소가 발견되면 주기율표에 추가됩니다. 최근에 추가된 원소들은 2016년에 국제 순수·응용화학 연합(IUPAC)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습니다. 이들 원소는 니호늄(Nh, 원자번호 113번), 모스코븀(Mc, 원자번호 115번), 테네신(Ts, 원자번호 117번), 오가네손(Og, 원자번호 118번)입니다. 이 원소들은 일본, 러시아, 미국의 연구팀이 합성한 것으로, 각 원소명은 발견된 지역이나 기여한 과학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Q.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정은 전문가입니다.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이유는 두 물질의 분자 구조와 극성 때문입니다. 물은 극성 분자로, 전하 분포가 비대칭적이어서 다른 극성 물질과 잘 섞입니다. 반면, 기름은 비극성 분자로, 전하 분포가 균등하여 비극성 물질과 잘 섞입니다. 극성 물질은 극성 물질과, 비극성 물질은 비극성 물질과 섞이는 성질이 있는데, 물과 기름은 서로 극성이 달라 섞이지 않습니다.이러한 성질로 인해 물과 기름은 물리적으로 섞일 수 없으며, 층을 이루게 됩니다. 그러나 유화제와 같은 물질을 사용하면 두 물질이 섞이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누는 기름과 물을 혼합하여 세정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Q. 푸딩에는 대량의 설탕이 들어가는걸로 알고 있는데, 흡습성으로 인해서 더 딱딱해져야하는데, 왜 말랑말랑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정은 전문가입니다.푸딩의 말랑말랑한 질감은 설탕의 흡습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설탕은 습기를 흡수하여 물 분자와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 이를 통해 푸딩 내부에 수분을 유지합니다. 이 과정에서 수분이 푸딩의 성분들과 결합하여 젤 같은 구조를 형성하고, 그 결과 부드럽고 탄력 있는 질감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설탕이 많이 들어간 푸딩은 흡습성으로 인해 딱딱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분을 유지하며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상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