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동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동건 전문가입니다.

황동건 전문가
온누리약국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보통 약은 제조하고 나서 유통기한이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대부분의 약의 유통기한은 제조일(생산한 날짜)를 기준으로 24개월~36개월 정도이며, 제형과 약물 성분, 부형제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약을 개봉한 경우에는 개봉 시점을 기준으로 유통기한이 재설정된다고 생각하셔야합니다. 일반적으로 의사의 처방으로 약국에서 비닐 포장으로 조제된 약은 조제일을 기준으로 6개월을 유통기한으로 봅니다. 대부분의 일반의약품 포장형태 약인 한알씩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으로 포장된 PTP 형태의 약들은 원 약품 용기에 표시된 기간까지는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외용 연고나 크림들은 개봉 후 6개월, 안연고/안약은 개봉 후 1달까지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유통기한이 지난 경우 약물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감소해 약효가 떨어질 수 있으며, 약 내용물이 변질되어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감기약에 졸린약이 있는이유가있나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감기약 중 졸음을 유발하는 약은 일반적으로 콧물/재채기약, 알레르기약 등으로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입니다. 사람의 중추신경계에서 히스타민은 신경전달 물질로 작용해서 각성효과를 내는 물질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각성 효과를 내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해 진정이나 졸음 부작용을 나타냅니다.항히스타민제는 1세대, 2세대(분류에 따라 3세대까지 분류하기도 합니다.)로 분류됩니다. 세대가 낮을 수록 효과는 더 좋지만 졸음 부작용이 가고, 세대가 높을수록 효과는 떨어지지만 졸음 부작용이 가장 적습니다. 따라서 감기약에 효과가 더 강한 약이 포함되어 있을수록 졸음 부작용이 더 커지게 됩니다.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효과는 더 좋지만 약효 지속시간이 짧아서 하루에 여러번 복용해야합니다.(다만, 체내 반감기는 길어서 졸음같은 부작용은 길게 지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기약에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1세대 항히스타민제 중 하나인 페니라민정(성분: 클로르페니라민)은 하루에 2번에서 많게는 4회까지 복용하기도 합니다. 반면, 2세대 항히스타민제는 효과는 떨어지지만 약효 지속시간이 길어서 하루에 1~2회만 복용합니다.감사합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처방약 용량과 성분 확인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아침약인 OG 30이 적혀있는 원형의 흰색 정제는 '프레탈정 100mg'이며, 저녁약인 OG 29가 젹혀있는 흰색의 경질캡슐은 '프레탈 서방캡슐'입니다. '프레탈정 100mg'과 '프레탈 서방캡슐은 성분은 실로스타졸(Cilostazol) 성분으로 동일합니다. 하지만 '프레탈 서방캡슐'은 '프레탈정 100mg'과 다르게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는 서방형 제제입니다. 즉, 둘 다 동일한 성분과 함량의 약물이지만 복용했을 때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약물의 혈중농도 같은 약동학적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납니다.감사합니다.
약 복용
약 복용 이미지
Q.  지금 복용 중인 약과 함께 타이레놀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비뇨긱과에서 처방받은 약인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성분의 항생제 하이록신정 250mg과 에소메프라졸(Esomeprazole) 성분의 위장약 넥시오메정 20mg은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성분의 해열진통제인 타이레놀과 특별히 주의해야할 상호작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처방약 복용 중 두통 증상이 있으실 때 타이레놀을 복용하셔도 괜찮습니다.다만, 타이레놀 복용 전/후로 알코올이 포함된 술이나 음료를 드신다면 복용하시면 안됩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약료상담
기타 약료상담 이미지
Q.  목에 관련된 염증에 복용하는 항생제는 서로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일반적으로 상기도 감염쪽인 부비동염, 인두염, 편도선염, 중이염 유발 균에 사용하는 항생제가 겹치기 때문에 보통은 비슷한 항생제를 사용합니다.(유발하는 균이 같은데 감염된 부위에 따라서 편도선염, 인두염 등으로 질병이 달라지기도 합니다.)환자의 증상과 처방의의 판단에 따라서 조금씩 사용하는 항생제가 달라지지만 부비동염, 인두염, 편도선염에는 아목시실린(Amoxicillin),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Clavulanate), 세파클러(Cefaclor) 등의 항생제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편입니다.감사합니다.
1811821831841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