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목에 관련된 염증에 복용하는 항생제는 서로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일반적으로 상기도 감염쪽인 부비동염, 인두염, 편도선염, 중이염 유발 균에 사용하는 항생제가 겹치기 때문에 보통은 비슷한 항생제를 사용합니다.(유발하는 균이 같은데 감염된 부위에 따라서 편도선염, 인두염 등으로 질병이 달라지기도 합니다.)환자의 증상과 처방의의 판단에 따라서 조금씩 사용하는 항생제가 달라지지만 부비동염, 인두염, 편도선염에는 아목시실린(Amoxicillin),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Clavulanate), 세파클러(Cefaclor) 등의 항생제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편입니다.감사합니다.
Q. 약을 먹을때 위산 억제제를 먹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약들 중 속쓰림, 속더부룩함, 소화불량과 같은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약들이 있기 때문입니다.위장장애를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약인 NSAIDs 계열의 소염진통제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감소시킵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의 양이 감소하면 위장관을 보호하는 점막의 생성이 감소하고 속쓰림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여러 약들이 속쓰림이나 속 더부룩함과 같은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이런 위장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 위산 분비 차단제를 위장약으로 사용해 위산의 분비량을 감소시키고 위산으로 인한 위장관의 손상과 속쓰림 증상을 예방합니다. 위산분비차단제 이외에도 레바미피드(Rebamipide) 같은 위장관의 점막을 늘려주는 약을 사용하기도 하며, 모사프리드(Mosapride)/이토프리드(Itopride) 같은 위장관 운동 조절제를 사용해서 약 복용으로 인한 속 더부룩하거나 소화불량 증상을 예방하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