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생물을 식물과 동물로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식물 중에서도 약간의 움직임을 보일 수 있는 종도 있고, 동물 중에서도 몸을 대부분 고정하고 생활하는 종이 있습니다.그래서 움직임의 유무나 외형으로는 완전히 구분하기 힘듭니다.동물과 식물은 해당 개체를 구성하는 세포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동물은 동물세포, 식물은 식물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요.식물세포는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엽록체를 가지고있고, 세포벽이라는 구조를 가집니다. 동물세포는 세포벽이 없고 엽록체도 없습니다.그래서 동물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은 종속영양만 가능하기 때문에 한자리에 있더라도 계속 먹이를 먹어야합니다.
Q. 알레르기 질환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알레르기 질환의 증가는 여러가지 요인이 생각되고 있습니다.보통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알레르기 질환이 증가된 것으로 보여, 매연이나, 여러 화학물질이 한 원인으로 생각됩니다.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면역체계가 사실 기생충이나 다른 감염병에 대항하는 면역체계임이 알려져, 위생관념이 높아지면서 이런 감염확률이 줄어들며 할일이 줄어든 면역체계가 과민 반응을 일으켜 생긴다는 이론도 있습니다.식습관의 변화나,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변화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Q. 식물한테 좋은말, 나쁜말 해줬을떄 성장 속도가 다르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식물에게 좋은말, 나쁜말을 해줌에 따라 성장속도가 다르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미신입니다.2000년대 초에 유행한 물에 좋은말을 해주면 얼음결정이 예쁘게 된다는 설에서 기원하였는데 실제로 실험을 해보면 좋은말을 해주던 나쁜말을 해주던 성장속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오히려 그냥 개체간의 차이나 재배 방식이 더 많은 영향을 줍니다.한때 나쁜말을 해준 양파가 좋은말을 해준 양파보다 폭풍성장을 해서 이것이 밈이 된 경우도 있습니다. 바르고 좋은말의 중요성을 가르치기 위해 이런 미신을 사용하려 한 것 같지만, 오히려 이런 방법은 사람들을 혼란에 빠트리고 반감을 생기게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