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노인의 정의와 현재 인간의 평균 수명은 몇 살인가요?
안녕하세요.노인을 정의하는 것은 다양한 관점과 맥락이 고려됩니다.많은 나라에서 법적으로 만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지칭합니다.이는 여러가지 사회적인 평가가 반영된 결과일 것입니다.하지만 법적인 기준 말고 다양한 기준으로 구분하기도하며 신체기능의 저하나, 회복력감소, 운동능력감소 등이 심할 때 노인이라고 하기도하고, 사회적인 인식과 사회에서의 역할이 변할 때, 혹은 개인이 자신을 노인이라고 인식하는 순간으로 생각할 수도 있어 딱 떨어지게 나누기는 힘듭니다.인간의 평균 수명은 약 72세 정도로 조금씩 더 늘어나는 추세입니다.평균으로 72세이지만 오래사는 사람은 100세가 넘어가는 등 편차가 큰 편입니다.
Q. 사람이 공부를 한다고 과연 똑똑해질까요??
안녕하세요.똑똑해진다는 것을 뇌의 발달이라고 정의한다면,공부를 하는 행위는 뇌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개인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공부를 하지 않았을 때와 했을 때의 뇌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합니다.인간의 뇌는 가소성이 있어서 지식이나 경험을 접하면서 변화합니다.예를 들면 수학교육을 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의 전두엽에는 차이가 있습니다.하지만 학교에서 1등하는 뇌가 절대적으로 똑똑하고 가장 좋은 뇌인 것은 아닙니다.학교의 시험과 같은 평가 방식은 한계가 있습니다.경향성은 있지만 절대적이지는 않습니다. 지능의 경우 언어, 논리, 음악, 공간, 운동, 대인관계 등 많은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학교에서 1등하는 학생들은 기억력이 좋고, 논리 지능이 발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기가 되는 지능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1등하는 학생이 운동도 1등, 음악도 1등, 대인관계도 좋고, 미술도 잘하는 확률은 낮을 것입니다.학교에서 주로 평가되는 지능 뿐 아니라 다른 지능들도 중요합니다.결국 성적은 한 가지 지표일 뿐이고, 개인의 뇌 능력이나 지능의 수준을 완벽하게 반영하지 않습니다. 뇌의 발달에는 학습뿐 아니라 환경이나, 개인의 특기, 학습 스타일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합니다.그래서 교육과정의 학습을 하면서도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