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김휴 전문가
휴쿤스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월 5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때 초상화를 그릴 때 비단에다가 그렸다고 하는데요 이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사대부나 왕의 얼굴을 그린 초상화에 비단을 사용하였습니다. 왕의 초상을 어진이라고 합니다. 비단이 비싼만큼 이름있는 화가에게 맡겨 제작하였고 그리기에 앞서 초본을 그립니다. 이때 한지에 그림을 그리는데 왕의 어진을 그릴때는 기름종이를 사용하여 초본이 합격을 하면 정본(완성작)을 뜨는것으로 초본을 그대로 비단에 덮어 본뜨는 작업입니다. 이때 유지초본을 사용하여 뜨게됩니다.
2024년 1월 4일 작성 됨
Q.
미술에서 다다이즘의 활동방식과 대표적인 화가는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0년대 전통을 부정하는 양식이 발전하면서 스위스 독일 등에서 발전하였고 실험적이고 의미부연성이없거나 초현실적인 화풍들이 등장하며 전위예술 등이 대표적인 미술활동입니다. 다다는 어린이 장난감을 의미하는 단어로 표현의 자유 그 밖의 어린이처럼 돌아가고싶은 의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만레이. 막스에른스트. 살바도르 달리 등이 대표적입니다.
2024년 1월 4일 작성 됨
Q.
스시가 맞는 말인가요? 초밥이 맞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초밥은 우리말이고 일본어로 스시입니다. 스시寿司초를 친 밥을 스메시라 부르고 그 위에 생선이나 계란을 얹어 먹는 일본 음식 스시이며 초창기에는 도박장에서 매점개념으로 생선을 손질해 밥을 따로 주다가 도박하면서 간편하게 도시락처럼 만들게되었다고합니다. 그 뒤로 일본 국민음식이 되었고 니기리즈시 마키즈시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니기리즈시는 생선초밥이고 마키즈시가 살짝 우리나라 김밥이나 롤 형태입니다.
2024년 1월 4일 작성 됨
Q.
책을 읽을때 읽고나서 기억이 안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너무나 그럴 수 있는 일입니다^^저도 그럴때가 있어요~ 한 문장씩 이어져서 스토리가 되는데 읽고 이해했는데 읽고나서 몇일뒤에 기억이 안날때가 있습니다. 애써 기억하려하시지마시고 다음번에 읽으실때 인상깊었던 또는 맘에드는 부분만 기억해보려고해보세요. 그걸 책 제목이나 부제에 연결시켜보세요~ 그리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다른 명제를 넣어서 연상하셔도 좋습니다. 그러면 일단 그 명제나 제목을 떠올리면 그 부분의 내용이 연상되실 수 있어요~ 엉뚱하지만 그 내용이 내 경험이나 기억에 있는지 비교해 보셔도 좋구요~. 그럼 조금씩 연상이 늘어가고 도움이 되실겁니다.
2024년 1월 4일 작성 됨
Q.
일본은 조총을 언제부터 사용하게되엇는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1543년에 다네가시마에 상륙한 포르투갈 무역선에서 아쿼버스(초창기 소총이름) 두 자루를 입수했고, 이를 바탕으로 조총을 자체적으로 만들었습니다.1600년대에 와서 일본은 세계최강으로 총이 많은 국가가 됬는데 농민들도 총으로 사무라이를 죽이는 정도가 되자 사무라이들의 반대로 총기소지가 없어지게되고 18세기들어서기까지 해외문물을 받지않고 자국의외국인도 다 쫓아내고 해외여행도 금지 시킵니다. 그러다가 총기사용이 없어지고 그마저 낡아서 사용이 불가능했었다고 합니다. 일본은 그렇게 오랫동안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끊었으며, 외국의 기술변화를 따라 갈 이유를 찾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중 1853년에 미국의 페리 함대에 의해 개항이 이루어지면서 일본은 다시 서양식 총기를 적극 도입하는 것으로 노선을 바꾸면서 유럽 서양문물을 완전히 수용하게됩니다. 일본 조총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을 통일하거나 조선을 침략할 때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의 육군은 임진왜란 당시에 일본의 조총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무너지게 됩니다.
76
77
78
79
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