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김휴 전문가
휴쿤스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추상화는 어떻게 해석 판단해야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추상미술은 기하학적인 추상과 낙서같은 추상이 있다고 볼때 스타일과 패턴을 이해하시는게 좋습니다. 작가마다 추구하는 질서를 여러작품을 보시다보면 찾아보실 수 있을겁니다. 문장으로치면 구차하게 나열된 글을 한마디로 표현한게 추상미술에 가깝기도 합니다. 반대로는 구상미술이 있습니다. 구상미술은 빛에 대한 대상을 표현한것으로 추상은 빛과 관련이 없는 패턴입니다. 스카프를 고를때는 예쁜색과 맘에드는 패턴을 잘 고르는데 미술품을 볼때는 논리적으로 대하려하게되는데 사고력도 조금 다양하게 관점을 폭넓게 바라보는게 필요합니다.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니체의 '우상의 황혼'에서 제시된 예술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전까지의 우상의 몰락을 선언함으로 시작됩니다. 10개편으로 되어있습니다. 1888년에 쓰여진 이 니체의 저서는 기존의 '우상'이 되었던 가치들을 전도시킵니다. 본저에서는 '모든 가치의 전도'라는 후기 니체의 철학적 과제를 실현시킨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머리글에서 니체는 '명랑함의 유지'와 더불어 '우상의 진단'이 (아마도 정신적인) 부상의 치료법임을 명시하는데, 가히 니체다운 글입니다. 그리고 '나를 죽이지 못하는 고통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라는 격언을 남긴 사람답게, 그의 좌우명이었던 잠언: 상처로 인해 정신이 성장하고 힘이 회복된다.-니체-니체가 말하는 망치철학은 망치로 부숴야한다는게 아니라 모든인간이 스스로에게 개작을 하라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개작이란 내 스토리를 내가 편집하고 재구성한다는 의미로 예술이야말로 이를 개작하는데 가장 위대한 것이며 망치는 그 개작을 위한 조각할때쓰는 조각칼입니다. 이를 망치라고 부른것입니다. 물론 유럽의 뿌리깊었던 기독교적 바탕에 선악을 스스로 파악하고 삶을 주도적으로 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전쟁 범죄자 히틀러의 마지막은 어떻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히틀러는 2차대전 막바지 1945년 4월 30일에 소련군이 독일 점령을 하고 독일이 막지못하자 전쟁이 끝났음을 인정하고 에바브라운과 지하벙커에서 결혼식을 올린 후 40시간 이후 부인과 함께 자살을 합니다. 죽기 전 최고지위자를 괴벨스에게 역임하나 괴벨스 역시 청산가리로 자살을 합니다. 이 후 1945년 5월 8일 독일 대통령인 카를 되니츠가 연합군에 항복을 선언하며 2차세계대전이 끝이 나지만 소련과 연합군은 냉전으로 이어지며 독일 전범들에 대한 뉘른베르크 재판이 엉성하게 마무리됩니다. 독일은 총리와 국민들의 무한 반성과 각성 각 나라들에게 깊은 반성과 전쟁배상금을 지불하며 모범적인 선진국으로 도약하는데 성공합니다.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바로크 양식이 무엇이고 언제 끝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로크양식은 17-18세기에 유럽에서 유행했던 르네상스 붕괴 이후의 건축 미술 음악 문학 등의 총칭입니다. 바로크-baroque: 포르투칼어로 불규칙하게 생긴 진주 또는 삐뚤어지게 생긴 진주를 뜻합니다. 1600년부터 1750년시기 이며 미술사에서는 카라바조를 대표하고 이후 카라바조의 풍으로 그린 추종자들을 카라바 제스키라 불렸습니다. 이어 렘브란트를 중심으로 네덜란드가 바로크양식으로 시대를 이어가며 스페인의 벨라스케스 이태리의 로렌초 등이 있습니다. 건축은 베르사유궁전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으며 음악으로는 바흐와 헨델이 대표적인 바로크 양식입니다. 이어 프랑스에서 인조석으로 곡선적인 건축이 유행하면서 로코코양식이 나타나게됩니다.
2023년 12월 25일 작성 됨
Q.
할렐루야와 임마누엘은 합성어라고 하는데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두단어가 합성어는 아닙니다. 둘 다 히브리어로 사용되는 종교어입니다. 할렐루야(히브리어)할랄:찬양하다 루:너. 너희야:여호와. 여흐. 등 예수님. 여호와를 찬양하라! 이때 야를 너무나 신성시여기어 유대교에서는 할렐루야를 자주 사용하지 않습니다. 임마누엘(히브리어)임마누: 우리와 함께하다. 엘: 하나님. 예수님. 여호와. 삼위일체.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신다.
81
82
83
84
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