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평가절상과 평가절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평가절상(appreciation)과 평가절하(depreciation)는 주로 외환시장에서 통화가치의 변동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평가절상(appreciation)은 한 나라의 통화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달러가 1,000원에서 1,200원으로 올랐다면, 원화가치가 상승했다고 하여 '원화가 평가절상되었다'고 표현합니다. 이렇게 되면 동일한 액수의 달러를 사는데 더 많은 원화가 필요하게 됩니다.반대로 평가절하(depreciation)는 한 나라의 통화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말합니다. 1달러가 1,000원에서 800원으로 내렸다면 '원화가 평가절하되었다'고 합니다. 이 경우 동일한 액수의 달러를 사는데 원화가 덜 들게 됩니다.일반적으로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평가절하가 유리하고, 수입기업 입장에서는 평가절상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지나친 평가절하는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고, 지나친 평가절상은 수출경쟁력 약화 우려가 있습니다. 그래서 적절한 수준의 환율이 유지되도록 통화정책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외주임가공 임율 계산법에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임가공비를 산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고려해야 합니다:1. 직접노무비- 작업자 임금, 상여금, 퇴직적립금 등2. 간접노무비 - 관리직 급여, 복리후생비 등3. 기계가공비- 기계감가상각비, 전력비, 공구비 등4. 제경비- 임대료, 보험료, 세금, 수수료 등 5. 이윤- 적정 이윤율을 책정임가공비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임가공비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 + 기계가공비 + 제경비 + 이윤각 항목별 산정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직접노무비 = 작업시간 × 시간급 간접노무비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율기계가공비 = 기계가동시간 × 시간당 기계원가제경비 = 직접노무비 × 제경비율 이윤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 + 기계가공비 + 제경비) × 이윤율시간급, 간접노무비율, 기계원가, 제경비율, 이윤율 등은 회사 상황에 맞게 적정 수준으로 책정하시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체계적으로 임가공비를 산정하면 적정 수준의 공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월배당 ETF의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 월배당 ETF 구조:주식 배당: 대부분의 월배당 ETF는 높은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는 주식에 투자합니다. 이러한 주식은 일반적으로 금융, 통신, 공공기업 등의 업종에 속합니다.옵션 전략: 일부 월배당 ETF는 콜옵션 매도 전략을 사용하여 추가 수익을 창출합니다. 콜옵션 매도는 프리미엄 수익을 얻지만, 주가가 상승하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파생상품 활용: 선물옵션, 스왑 등의 파생상품을 활용하여 매달 일정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도 있습니다.2. 월배당 ETF 가능성:매달 수익 창출: 월배당 ETF는 매달 일정 수익을 제공하여, 현금흐름을 중요시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입니다.수익률 향상: 옵션 전략이나 파생상품 활용을 통해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투자 접근성 향상: 소액 투자자도 쉽게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3. 월배당 ETF 주의점:높은 수수료: 월배당 ETF는 일반적인 ETF보다 수수료가 높습니다.수익 변동성: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낮은 성장 가능성: 높은 배당을 지급하기 위해 성장보다는 수익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옵션 전략 위험: 콜옵션 매도 전략은 주가 하락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파생상품 복잡성: 파생상품 활용 전략은 복잡하고 높은 리스크를 동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