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왜 부채가 생기는데 갚지를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부채 상황과 관련해 몇 가지 점을 짚고자 합니다.미국은 세계 최대 경제국으로, 달러가 국제통화로 사용되고 있습니다.미 국채는 안정적이고 유동성이 높아 투자 대상으로 인기가 많습니다.미국은 자국 통화발행국으로 자국 통화인 달러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단기적으로는 정부부채 상환 능력이 문제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급증하는 이자 부담이 우려됩니다.다만 세계적으로 달러에 대한 신뢰와 수요가 여전히 높아 부채 문제로 단기적으로 파산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입니다.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미국 부채 상황이 현재 수준에서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이자부담 증가로 인한 문제가 예상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미국은 당에 따라서 친환경정책이 좋아질수도 나빠질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에서 친환경 정책은 정치세력에 따라 입장이 다소 다릅니다.전체적으로 민주당은 친환경정책을 더 지지하는 편이며, 공화당은 기업의 이익과 경제성장을 더 중시합니다.하지만 최근 녹색성장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면서 의견차이도 줄어들고 있습니다.민주당 집권 시 :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강화하고,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립니다.공화당 집권 시 : 화석연료 사용을 제한하던 정책을 완화하고, 기후정책에 대한 투자를 축소합니다.다만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미국 내 환경단체의 영향도 크습니다.결론적으로 집권정당은 친환경정책 진전 정도를 좌우하지만, 100% 반대는 아닙니다.
Q. 투자은행과 트리핀 딜레마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투자은행과 트리핀 딜레마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투자은행기업의 M&A, IPO 등 주식발행을 주선하는 금융기관입니다.기업재무자문과 주식발행을 주요 업무로 하며, 주식거래 역시 지원합니다.트리핀 딜레마경기성장, 물가안정, 자본유입의 3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없는 딜레마를 말합니다.예를 들어, 금리인상으로 인해 경기성장과 자본유입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이에 따라 통화당국은 3가지 목표간 균형을 이루는 것이 어려운 상황입니다.간략하게 설명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