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의 식료품 물가 상승이 다른나라대비 빠르게 올라가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의 물가 상승 압박, 고용과 소비 활력에 기인한국 경제는 높은 고용률과 활발한 소비로 수요가 공급을 웃돌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 과잉 상황이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꼽힙니다. 수입의존도 또한 높아 국제 원자재 가격 등락이 국내 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부동산 가격 변동성, 대외 여건 변화 등도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아시아 신흥국의 경우 고성장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플레이션 기조가 뚜렷한 편입니다. 반면 선진 경제국들은 경기 안정세를 바탕으로 물가를 꽤 잡고 있습니다. 한국의 높은 물가 오름세는 이처럼 내수 활력, 수입 의존도, 주요 가격 변수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정화 정책을 펼쳐나가야 할 것입니다.
Q. 주식의 호가 단위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 호가 단위는 주식의 가격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1. 1,000원 미만: 1원 단위예) 500원, 501원, 502원 ...2. 1,000원 이상 5,000원 미만: 5원 단위 예) 1,000원, 1,005원, 1,010원 ...3. 5,000원 이상 10,000원 미만: 10원 단위예) 5,000원, 5,010원, 5,020원 ...4. 10,000원 이상 50,000원 미만: 50원 단위예) 10,000원, 10,050원, 10,100원 ...5. 50,000원 이상 100,000원 미만: 100원 단위예) 50,000원, 50,100원, 50,200원 ...6. 100,000원 이상 500,000원 미만: 500원 단위예) 100,000원, 100,500원, 101,000원 ...7. 500,000원 이상: 1,000원 단위예) 500,000원, 501,000원, 502,000원 ...이러한 호가 단위 결정 기준은 한국거래소에서 정한 것으로, 주가 수준에 따라 적절한 호가 단위를 설정함으로써 시장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호가 단위가 지나치게 작으면 주문 처리에 부담이 커지고, 반대로 너무 크면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님비현상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님비(NIMBY) 현상은 'Not In My Back Yard'의 약자로, 어떤 시설이나 정책 등이 자신의 이익과는 상관없을 때는 찬성하지만 내 주변에서 이뤄지면 반대하는 태도를 말합니다.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은 환경보호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내 주거지 근처에 발전소가 들어서면 환경오염, 자연경관 훼손 등을 이유로 반대할 수 있죠.이런 님비 현상은 공공시설, 산업단지, 쓰레기소각장 등 기피시설 유치와 관련해서도 자주 나타납니다. 전체적인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자신의 지역에선 바라지 않는 태도인 셈이죠.결국 님비 현상은 이기적인 측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사회적 비용과 편익의 불균형으로 이어지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때문에 시설 입지 선정 과정에서 주민 의견수렴과 보상 등 적절한 조치가 필요한 이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