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문민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문민기 전문가입니다.
문민기 전문가
대성테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학문
화학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불멍가루라는게 있던데요, 불속에 넣으면 불의색이 바뀌던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흔히 배우는 화학기호 있잖아요? 수헤리베비씨는 오프네....해서 1번이 수소고 2번이 헬륨이고 할 때 화학기호에서 보면 나트륨은 노란색 리튬은 빨강색처럼 각 물질마다 연소시 발생하는 고유의 색이 있습니다. 이러한 고유의 색이 불속에 들어갔을 때 나타나는데 그 색들이 퍼지면서 오로라처럼 나오는거죠.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부탁드려요^^
화학공학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액체괴물은 어떻게 자기들끼리 잘 뭉칠 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액체괴물은 말이 액체가 붙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액체와는 좀 특성이 다릅니다. 음...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말하는 물 또는 기름과 같은 흐름성이 없고 또한 점도가 일정하지 않아요. 이걸 전문용어로 표현하면 비뉴턴유체로 바꾸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전단력, 혹은 인장응력에 따라 변형에 저항하는 능력이 변화되는 유체라는 겁니다. 액체 괴물을 가지고 놀 때 손가락으로 천천히 누르면 점석이 높아 뻑뻑한 액체처럼 흐르고 만일 빠르게 드드리거나 짜면 물기가 있는 고체처럼 단단한 특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액체 괴물이 손에 묻지 않는 이유는 그에 따른 화학적 구성 성분 때문입니다. 이는 폴리머로 이루어져서 반자들이 서로 미끄러지게 만들고...좀 복잡한 화학식은 제쳐두고라도 적정한 양의 물과 이 화학물질을 섞으면 손에 묻지않는 액체 괴물이 만들어지게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백두산 폭발얘기가 있는데 진짜라면 무섭네요 ㅠㅠ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백두산은 활화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분출 가능성이 있는 화산이니 작성자 분께서 걱정하시는 것도 당연합니다.과거를 돌아보면 100년에 한 번씩 있는 소분화와 천년에 한 번 있는 대분화를 반복해 왔는데 특히 946년에 일어나 대분화는 세게 최대급으로 지름 5km의 칼데라가 형성되고 화산재는 일분의 동쪽 지방까지도 쏟아 졌다고 하니 어마어마한 폭발이었죠마지막 분화는 1925년으로 이때는 소규모 였는데 이 것을 단순히 주기로만 본다면 이제 소분화와 대분화가 일어나 시기이기는 합니다. 또한 2000년에대 보고에서는 지하에 마그마가 고여있고 마그마에 의한 가스로 나무들이 죽고 있는것도 확인이 되었으니 걱정이기는 하죠.우리나라도 이를 감시하기 위해 남북분계선 부근에 음파관측소와 중국의 지진 정보 제공 합의도 하고 화한 활동 조사를 꾸준히 하고 있는 중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남극의 백야현상은 어떤원리로 인해 생기는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에 백야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이게 무슨 뜻이냐면 남극 지방은 겨울에는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서 하루 종일 계속 해가 떠 낮이 이어지며 여름에는 태양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낮에도 해가 뜨지않고 밤이 이어지게 됩니다. 이는 극야현상이라고 합니다.물론 북극지방은 남극과는 반대로 겨울에는 하루종일 밤이고 여름에는 하루종일 해가 뜨는 낮이 이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겠죠.참고로 주로 백야현상이 일어나는 지역은 극지방과 가까운 덴마크나 핀란드 아이슬란드나 알래스카 그린란드 등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동물들에게도 '기본 욕구'라는 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물론입니다. 동물들의 집단을 보면 서열이 있고 대장이 있고. 또한 대장이 암컷들을 거느리고 있는 것만 봐도 소유욕과 성욕도 있으며 식욕은 물론 수면욕까지도 기본적인 욕구는 사람보다도 오히려 강합니다. 또한 중국의 판다 같은 경우에는 성욕이 거의 없어서 교배가 안되어 멸종 위기에 처하는 것처럼 개체마다 차이가 있는것도 당연하며 실제로 이러한 성욕 때문에 멸종해버린 동물도 있습니다.물론 판다와는 다른 경우이기는 하지만 아일리쉬 엘크라는 사슴과의 동물은 암컷에게 잘 보이기 위해 수컷은 거대한 뿔을 자랑하며 교배를 하려고 했죠. 그런데 이러한 경쟁이 점점 뿔을 키우고 뿔의 무게만 40kg이 넘으면서 이를 24시간 달고 살아야 하니 결국은 이 무게 때문에 자연에서 토대되다 멸종하였다고 합니다.이처럼 동물은 순수 욕구를 위해서 진화를 해 왔기에 기본 욕구는 사람보다도 충실하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지구를 한바퀴 돌때 걸리는 시간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에 이러한 질문에 실제로 행동한 부자가 있습니다. 총 걸린 시간은 67시간으로 사흘이 조금 못된 시간인데 지구한바퀴를 도는데 총 거리는 약 40000km이고 만일 비행기의 속도가 시속 1000km로 간다고 한다면 40시간이 걸릴것이고 이는 약 2일이 안되겠네요.물론 이정도의 속도로 40시간을 비행할 수 있는 비행기는 연료의 문제로 없지만 공중 급유가 가능하다는 가정하에서 쉬지 않고 비행을 한다고 1000km의 시속으로 40시간이 걸린다고 보면 됩니다.^^
화학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수온이 올라갈수록 해수면이 올라가는 거 말고 다른 영향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수온의 상승이 해수면 상승이라는 단순 문제를 제외한 영향들을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가장 큰 것은 해양생태계의 파괴로 인해서 우리의 생활이 많이 바뀌게 되는 겁니다.바닷소에 백화현상으로 해조류가 감소되어 암반이나 산호가 하얗게 변화되기도 하고 이로 인해서 산호초가 폐사를 하게 됩니다. 이 산호초의 폐사가 왜 문제가 되냐면 산호초에 서식하는 해양 생물의 종만 40만종이 넘습니다. 이러한 산호가 사라지면 결국 해양 생태계가 파괴가 되며 이는 서서히 다가오는 현실이기도 합니다.최근에는 호주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산호초 군락지가 대부분이 전례없는 폭염으로 인해서 바다의 사막화가 생겨 선호의 떼죽음이 일어났습니다. 이로인해서 그 군락지의 해양 생물들이 죽거나 떠나는건 자연스런 현상이구요. 이 문제가 모든 해양에서 일어난다면 결국 바다는 죽음의 장소가 될 것이고 결국 인류는 멸명의 길로 가겠죠.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화학공학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정말 큰 소리로 유리를 깰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로 유리를 깰 수는 있습니다. 유리뿐만 아니라 모든 물체는 자신만이 가지는 고유 진동수가 있습니다. 떨림의 정도인데 만일 작성자 분께서 낸 소리가 공기를 타고 물체에 전달될 때 소리의 떨림이 그 유리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게 된다면 흔들림이 나타나고 유리에 충격을 주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공명 현상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서 와인 잔과 같은 고유 진동수의 소리를 와인 잔에 노출하는 경우에 공명으로 와인 잔이 충격을 받고 깨지는 현상은 종종 영상으로 접할 수가 있는데 이것이 공명에 의한 유리의 깨짐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만지기만해도 위험한 곤충이 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작성자님께서 궁금하신 부분은 말벌처럼 만진다고 벌침을 쏴서 위험한 그런 종류가 아니라 곤충의 표면만 만져도 위험한 종류의 곤충이 궁금하신 듯합니다.고양이 애벌레라고 불리는 부드러운 털을 가진 곤충이 있습니다. 이 털이 실제로 보면 부드러워서 만지고 싶은데 혹 만지게 된다면 가슴통증과 호흡곤란 감각마비등의 극도의 고통을 동반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니 절대 만져서는 안되는 곤충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위험한 곤충이라고 하면 장수말벌이 있습니다. 일반 말벌보다도 3~8배이상 큰 말벌로 주로 여름과 가을철에 많이 나타나며 쏘이는 순간 쇼크사가 발생할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하며 전국 어디서든 서식하니 항상 주의 해야겠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해시계는 어느 장소에서도 같은 시간으로 표시되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해시계는 태양의 그림자를 이용하여 시간을 재기 때문에 태양의 일주운동에 따라서...정확히는 지구의 자전과 연주운동을 통해서 측정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북반구와 남반구의 태양의 그림자는 정반대로 움직이는데 같은 시간을 기준으로 해시계를 잰다면 정확히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