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문민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문민기 전문가입니다.
문민기 전문가
대성테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아파트 외벽사이에 종이를 던지니 가운데에서 계속 돌던데 무슨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도 빌딩풍에 의한 바람으로 종이가 바로 떨어지지 않고 공중에서 부유하다가 날아간듯합니다.아파트와 아파트 사이에 좁은 틈에는 바람이 부딫쳐 갈라져 불 때 벤츄리 효과로 아주 강한 바람이 불게 됩니다. 이걸 빌딩풍이라고 부르는데 쉽게 설명드리면 우리가 냇가에서 놀 때 넓은 곳에서 잔잔하게 흐르던 물이 보나 아니면 좁은 틈에서는 빠르게 물이 흐르는걸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넓은 면적에서 좁은 면적을 만나고 다시 출구의 넓은 면적으로 가게되면 기압이 높고 풍속이 느린상태에서 기압이 낮고 풍속이 빠른 상태로 바뀌게 되는데 이를 벤츄리 효과라고 합니다. 그래서 종이가 떨어지지 않고 바람을 타고 돌다가 날아가게 된답니다.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태양은 언제까지 에너지를 분출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소멸은 정확한 계산은 없으나 과학자들의 예측으로는 약 80억년의 나이에 최고 온도에 도달한 다음 110억년의 나이에 최종적으로 죽을 것으로 예측합니다. 지구와 태양은 나이가 거의 같은데 현재나이 약 46억년이라고 하네요.아직도 팔팔한 청춘의 나이인데 110억으로 계산하면 아직은 수명의 약 삼분의 일정도를 살았다고 할 수 있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위치에 따른 달 모양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달은 매 월을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는데 이 때문에 전세계 어떤 곳에서도 같은 모양입니다. 물론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보는 달은 거울과 같이 모양은 같으나 위치는 정 반대로 보이겠고. 남반구에서 보면 상현달이고 북반구에서 보면 하현달로 보이는 것처럼요.이렇게 모양이 같은 이유는 지구가 자전하면서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서든 달의 모양은 같은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바다 해류의 방향성이 반대가 된다면 무슨일이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해류의 방향이 바뀐다는 말은 지구의 자전 방향이 반대로 된다는 것인데 우리나라를 예로 든다면 현재 편서풍의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는데 편동풍의 영향권에 놓이면서 해양성 기후로 바뀔겁니다. 또한 지금보다 일교차가 적어지고... 음 좋은 점은 황사와 미세먼지는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가겠네요. ㅎㅎ그리고 작성자님이 궁금하신 해류의 방향도 반대로 변하게 될텐데 북반구는 시계방향, 남반구는 반시계 뱡향으로 돌고 있는 해류가 반대로 바뀌겠지요. 이로인해 우리나라는 한류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어 지금보다 기온이 낮아지고 강수량도 더 적어질테니 아마도 가뭄의 영향에 크게 놓일거같네요.답변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구제역이나 광우병의 원인 인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광우병의 원인물질은 프리온입니다. 프리온은 단밸직과 바이러스의 합인데 일반적으로 광우병에 감염된 소의 사료는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콩이나 생선 동물의 부산물. 그 중에서도 특히 양의 부산물에서 얻는데 이 부산물을 사료로 가공하여 소에게 먹였다고 하네요.작성자 분께서 궁금해하시는 열을 가열했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들이 잘 안죽는지 궁금한 부분과 연관이 되어 있는데 이 사료를 소에게 먹일 때 고온 열처리를 하지 않고 벤젠같은 용제로 지방을 제거하면서 고온 처리가 없어 뇌가 광범위하게 파괴되고 스펀지처럼 구멍이 뚤리는 전염 증상이 일어납니다. 이것이 우리가 흔히 광우병에 걸리면 뇌에 구멍이 뚫리고 치매가 오며 사망한다고 알려지는 증상입니다.조류인플루엔자에 걸린 닭을 80도 이상에서 튀기면 그 바이러스는 소멸해서 치킨을 먹어도 된다고 하듯이 열을 가했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거진 사멸합니다. 그래서 스팀 청소기 같은 고온 청소기가 세균 처리 효과가 있다고 홍보하는 것이구요.답변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왜 물속에서 물고기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만, 사람은 움직이기 어려울까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물 속에서 우리가 움직이기 어려운 이유는 항력때문입니다. 우리의 몸이 물속에서 움직일 때 유체에 의해 운동에 방해되는 힘을 받는 데 이를 항력이라 합니다. 항력은유체의 밀도에 비례하게 되는데 물의 밀도는 4도에서 가장 크며 이러한 밀도에 의해서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는 겁니다.단순히 비교를 하자면 우리가 평소에 생활하는 지상의 밀도는 약 1.225kg/m3이고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니 약 1000배의 저항력이 생기는 거니까 그만큼 물속에서는 빠르게 움직이기 어려운겁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생물·생명
2023년 3월 8일 작성 됨
Q.
생물과 미생물로 나눌때 미생물은 무엇이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초고온성 미생물은 80도 이상에서 생존할 수 있는 미생물을 뜻하는데 이러한 종만 수십종이 넘고 400도의 화산지대에서도 살아가는 생물도 있습니다.작성자님께서 일반적으로 죽는 생물을 어떤종을 얘기하는지 모르겠지만 사람을 예로 들면 아이들은 42도 어른은 45도의 고온에서는 사망합니다.또한 매생물을 불로 가열을 하였을 때 종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고온에서도 살아가는 종은 있습니다. 파이롤로부스 퓨마리, 써모토가 네아폴리타나, 써모토가 써마룸같은 초고온성 미생물들도 있습니다.바이러스는 정확히 분류하자면 생물. 원시적 생물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세포막등의 기본적인 요건이 없어 무생물로 분류를 하자고 하지만 과학적으로는 생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