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채권가격변동에 따른 채권금리의 변동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채권은 보통 발행되는 '액면가'에 만기에 지급하겠다고 표시되는 '명목금리'로 이루어져 발행이 되는데, 시중의 금리 변화에 따라서 채권가격이 변한다는 말을 하며 여기서 말하는 채권의 가격이라는 것은 채권의 '액면가격'이 아닌 발행되어진 채권이 시장에서 매매되는 '거래가격'을 이야기하는 것이에요 채권은 예금과 동일하게 발행시에 '액면가'와 '명목금리'를 지정하여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은 동일하지만, 은행예금은 서로간에 명의이전이 복잡한 반면 채권은 서로간의 매수매도가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요. 여기서 채권과 금리와의 관계에 대해서 예시를 들어서 설명드려 볼게요 1월 1일에 1년만기의 100만원 액면가의 채권을 2%의 금리에 발행1월 1일 기준에는 예금 금리가 1.5%로 예금금리 보다 높아서 채권을 구매하려는 사람이 다수6월 1일이 되면서 예금 금리가 3%로 상승 채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앞으로 금리가 더욱 오를 것이라 예상하여 채권을 매도하고 예금을 가입하려는 수요가 높아지게 되는데, 2%의 채권을 예금금리가 3%인 상황에서 사려고 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채권을 가진 사람들은 채권을 할인해서 판매하게 되요 액면가 100만원짜리를 99만원에 팔게 되면서 1만원의 손해를 보고 채권을 매도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에요 99만원으로 채권을 구입한 사람은 102만원의 원금과 이자를 받게 되며, 1년을 기준으로 채권의 실질이자율을 따지게 되면 약 6%의 이자율을 적용받게 되요 즉, 채권을 싸게 판 사람은 위와 6% 이상의 수익을 얻지 못하는 이상은 손실이 발생한 것과 같은 것익 때문에, 예금금리 상승으로 채권투자자들이 손실을 보았다라고 이야기하게 되는 이유인 것이에요 이렇게 채권의 '거래가격'이 금리의 상승에 따라서 하락하게 되는 것은 기존 채권을 보유한 사람들이 향후 금리 상승이 추가적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채권을 매도하려는 성향이 강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