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김옥연 전문가
(주)무궁화신탁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산관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주식에 영향을 주는 증자와 감자란 무슨뜻인가요?
주식에서 말하는 증자와 감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어요증자 증자의 경우에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증자는 결국 총 발행 주식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좋지 않지만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환하여 주주들에게 환원을 해주는 형태이다 보니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요감자감자의 경우에도 유상감자와 무상감자로 나누어지게 되지만 대부분은 자본잠식이 발생한 경우에 감자를 하기 때문에 무상감자를 하게 되며, 이렇게 감자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회사에 납입한 총 '자본금'이 감소하게 되면서 자본잠식을 해결하게 되지만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자본금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보니 주가에는 악재로 영향을 미치게 되요
자산관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업비트 최초 원화입금 72시간 관련 질문
72시간의 제한은 말 그대로 최초 신규 가입자에 대한 제한이기 때문에 과거에 입금의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24시간의 제한만 적용받게 되세요
자산관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금은 경제가 안좋을때 많이 오르는건가요?
금의 경우에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서, 금에 대한 수요가 많이 몰리게 되는 시기는 경제가 불안한 시기나 혹은 국제정세가 불안한 시기에 몰리게 되면서 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
자산관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자산을 구입하는 경우, 물품의 금액만 취득금으로 잡아야 하나요?
회계장부를 기록하는 것으로 본다면 부대 비용은 해당 자산을 취득하는데 들어간 비용에 포함되지 않으며 순수하게 노트북을 구입한 비용만을 자산으로 계상을 하게 되요
자산관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재테크에 첫발을 떼려고합니다. 무엇을 먼저 해야할까요?
사회 초년생인 경우에는 아직 나이가 젊으시기 때문에 적금중심보다는 펀드, 주식중심으로 비중을 더 두시는 것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주택청약, 적금, 주식, 펀드, ETF등으로 구성을 하시되 비중은 주택청약은 소득공제가 가능하시다면 최대 20만원을 납입하시고 난 후 적금 30%, 주식 20%, 펀드 20%, ETF 30% 정도로 투자를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 생각되네요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