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득 전문가
khpt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현재 지구의 대륙은 원래 하나였다는데 그 근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지구는 내부에서부터 내핵, 외핵, 맨틀, 지각 순으로 이뤄져있습니다.우리가 밟고 있는 땅이 지각 입니다.이 지각은 용암같이 유동성이있는 맨틀 위를 떠다닙니다. 배처럼요.다만 맨틀의 이동이 아주 느리기 때문에 느낄수는 없어요.지각이 이동하며 부딪히고 벌어지면서 생기는 진동이 지진이고현재 지각판의 이동을 근거로 과거를 예상하면 하나의 대륙이었을 것이다 하고 추정하는게 현실입니다.다만, 지각판이 이동하는 것은 사실이고 앞으로 오랜시간이 지난다면(몇억년이 지나면) 세계지도가 크게 바뀔만큼 변화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화재에서 말하는 인하점이라는 용어는 뜻인가요?
안녕하세요.인화점은 가연성 물질(액체나 고체)이 공기중에서 불(점화원)이 있을 때 연소가 시작되는 온도를 말합니다.비슷한 용어로는 발화점이 있죠.발화점은 불(점화원) 없이 특정 온도가 되어 연소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포가 무한정 커지지 않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개구리알, 사람, 코끼리를 비롯하여 모든 동식물의 세포 크기는 대동소이합니다.크기가 다르긴 하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다만 세포 수에 따라 동물의 크기가 정해지는 것이죠.세포는 크게 나누어 세포핵, 세포질, 세포벽으로 이뤄져있습니다.수족관에 비유하면 물고기, 물, 유리벽 으로 대치됩니다.세포가 커진다면 내부에 새포핵은 동일한 크기고 나머지 부분은 세포질(물)이 꽉 차겠죠.그러면 세포벽이 견디지 못하고 터집니다.어항 수준의 얇은 유리벽안에 1톤의 물이 들어간다면 수압을 못이기고 터지겠죠. 같은 원리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낙타 혹은 뭐가 들어있나요..
안녕하세요.지방이 들어있습니다.사람으로 치면 많이 먹고 조금 움직여서 뱃살이 찌듯이(이 뱃살은 먹지 않고 운동하면 에너지원으로 소비되어 사라지죠)지방을 혹에 축적해놓고 필요할 때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질소는 어디서 나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지구라는 천체가 형성될 때부터 존재하던 물질입니다.새로 만들어지거나 없어지는 것은 질량보존의 법칙에 의해 불가능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대기에 있다가 다른 합성물이 되어 땅으로 들어갔다가 형태를 바꾸긴 해도 질소 그 자체가 없어지거나 생성될 수는 없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의 눈 갯수는 두개인데, 시야는 하나로 보이는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뇌에서 두 눈에서 보이는 장면을 하나로 합치기 때문입니다.우리 뇌는 눈으로 보이는 시각을 필터링하고 보정하는데 엄청난 에너지를 쏟고 있습니다.눈의 실핏줄을 제거하여 보정하고 양 눈에서 오는 신호를 하나로 통합하는 등 여러 일을 뇌에서 하고있습니다.눈에서 보이는 대로 인식하지 않고 보정하기 때문에 착시현상도 생기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거미는 어떻게 거미줄에.걸리지 않고 다니나요?
안녕하세요.거미는 두 가지 거미줄을 만들어냅니다.끈적이는 거미줄, 끈적이지 않는 거미줄 이렇게 두 가지요.보통 가로줄에 끈적이는 거미줄을 사용하고 세로줄은 끈적이지 않는 줄을 사용합니다.거미는 끈적이지 않는 줄을 타고 다닐 뿐 끈적이는 줄에는 거미도 똑같이 걸려서 못움직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촛불에서 모세관 현상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모세관 현상은 직경이 아주 작은 관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물 끼리의 응집력과 물과 관 내벽의 응집이 번갈아가면 일어나 관을 타고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촛불에서는 초가 녹아 심지를 타고 올라갈 때를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과학을 여러가지 주제로 나눈다면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크게 나눈다면 물리, 화학, 생물, 전기가 될 것 같네요.저도 어릴 때 만화로 된 과학 전집을 읽었고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물리학은 물리학 발전의 역사를 되짚어 나가는 방식이 재밌을 것 같습니다.유명한 뉴턴의 사과는 왜 떨어지는가?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그래도 지구는 돈다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 등 유명한 일화에 관한 책이면 접근하기 쉬울 듯 합니다.화학은 초등아이들이 쉽게 접근할 방법이 원자의 구조 정도면 될 듯합니다.우리 몸과 사물은 어떤 분자로 이뤄져있는지, 분자는 어떤 원자들이 결합한건지, 원자는 무엇으로 이뤄져있는지이 정도만 알아도 됩니다. 더 세부영역으로 가면 복잡한 힘과 역학에 대해 알아야돼요.생물은 말씀하신대로 사람, 동식물 등에 대한 특징을 알려주는 책이 좋을 듯 합니다.예를 들면 기린은 왜 목이 길까, 사람 손은 왜 물에 들어가면 쭈글해질까 하는 특이점들을 바탕으로 의문을 해소해 나가면아이들이 흥미를 갖기 쉬울 것 같네요.전기는...제가 좋아하는 분야가 아니라 어렵지만 전기의 발명, 현재 발전소에서 어떻게 전기를 만들어내는가에만 초점을 줘도 충분한 내용이 됩니다.다만, 위의 모든 내용은 부모님께서도 충분한 이해가 깔려있어야 아이들이 모르는게 있을 때좋은 비유, 올바른 정보 전달이 될 수 있으니 아이들이 흥미를 잃지 않으려면 따로 공부를 하심이 좋겠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일출은 시간이 지날수록 왜 연해 지나요?
안녕하세요.빛의 산란 때문입니다.태양에서 오는 빛은 다양한 영역의 파장대를 가지고 있습니다.그 중 우리눈에 보이는 빛은 가시광선이라고 부르고파장이 긴 순서부터 빨주노초파남보 라고 부르기로했습니다.이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공기에 의해 산란되어 우리 눈에 가장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빛이 파랗습니다.일출, 일몰 시 생기는 노을은 태양 각도에 의해 생기는데파장이 긴 붉고 노란 빛이 공기에서의 산란과 굴절이 덜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눈에 많이 보이게 되고(태양에서 우리 우리눈까지 오기위해 뚫어야하는 대기층이 더 길어짐)하늘이 붉게 보이게 됩니다.해가 중천에 있는 상황과 반대가 되는거죠.마찬가지로 비온 뒤, 공기중에 입자가 줄어들면 노을이 더 붉어집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