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득 전문가
khpt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인공태양(핵융합)을 개발하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점화에 성공한것은 최초가 아닙니다.그 전에도 점화 실험에 성공을 했었죠.유의미한 성과는 투입 에너지 대비 더 많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어냈다는데에 초점을 두어야합니다.핵 융합을 위해 레이저를 사용했는데 이 레이저가 원자핵에 전달한 에너지보다핵융합을하여 방출된 에너지가 더 큰 것이 주요 초점입니다.다만, 레이저를 만드는데 투입한 에너지는 레이저가 원자핵에 전달한 에너지보다 훨씬 많고(즉, 점화를 위한 에저니가 어마어마하게 많이 든다)핵융합으로 방출된 에너지는 우리가 바로 쓸 수 있는 에너지가 아닙니다.(우리가 사용할 전기에너지로 바꾸려면 핵융합 시 방출된 에너지로 물을 끓여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생산해야함)위의 두가지 문제가 우리가 앞으로 넘어야할 과제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밤하늘이 검정색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계속 밝아져야 한다면, 빛이 반사될 때마다 밝아져야하는데 불가능 합니다.밝은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면 물리법칙에 위반되죠.예를 들어 태양빛이 지구에 닿으면 아무 손실없이 그대로 100%반사가 되어야합니다.그렇다면 지구는 얼음행성이겠죠. 열을 받을 수 없으니.그렇다면 태초의 빞은 어디로 갔느냐하는게 문제인데이는 우주배경복사라는 형태로 남아있습니다.우리눈이 인식하는 가시광선의 영역이 아닐 뿐 일정한 파장을 가진 채 우주에 흩뿌려져있습니다.이 복사파가 빅뱅이론의 가장 중요한 증거가 되었죠.
생물·생명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동물들은 어떤 방식으로 진화하나요?
안녕하세요.유전자 변이로 인해 진화합니다.일부 개체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킴 -> 변이된 특정형질이 우연히 생존에 적합한 형태가 됨-> 생존에 유리한 특이 개체가 살아남음 -> 후대로 유전정보 전달의 형태로 진화가 일어납니다.예를 들어 기린이 목이 긴 이유는목이 긴 개체들이 살아남는데 더 유리하기 때문에 목이 긴 기린만 살아남게 됐고그 유전자를 후대에 전달했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지진은 어떤 과학적 원리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맨틀의 대류로 인한 지각판의 이동에 의해 발생합니다.우리나라에서 지진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아닌 예전부터 꾸준히 발생해왔습니다.지구는 안에서부터 내핵, 외핵, 맨틀, 지각이 있습니다.이중 맨틀은 용암같은 액체상태로 흐르고있는데 맨틀이 움직이면서 지각판이 조금씩 움직입니다.지각판이 벌어질수도 부딪힐수도 있겠죠.그러면서 지진이 발생합니다.부딪힌 지역은 땅이 밀려올라가서 산맥이 되거나 바다에서 섬이 올라오기도 하고벌어진 지역은 협곡 등 이 생깁니다.무수히 많은 시간이 지나 현재 세계시도같은 지각이 된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달의 구멍들과 혹은 왜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운석 충돌로 인해 발생한 자국입니다.지구의 경우 물, 공기로 인해 풍화되어 깎여 나가기 때문에 흔적들이 많이 남아있지 않지만달의 경우 대기와 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몇십억년동안 운석에 의한 흔적들이 보존되어흉터가 많이 남아있는 것입니다.
화학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물은 몇 도에서 끓는 걸까요??
안녕하세요.물이 어는 온도를 0도라고 하고 끓는 온도를 100도로 하기로 약속한 것이 지금의 섭씨온도 입니다.물론 1기압을 기준으로 했을 때이고, 압력에 따라 바뀝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우주선 발사할때 왜 분리를하나요?
안녕하세요.연료가 다 소모되면 위로 올라가려는 관성에서 중력만큼 점점 속도가 감소합니다.다쓴 연료통을 분리해 무게를 줄여 속도 감소를 줄이기 위해서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일 작성 됨
Q.
지구에서는 위치가 어디든 중력이 다 똑같나요?
안녕하세요.중력은 만유인력과 같은 힘입니다.이 힘에 변수는 두 물체의 질량과 중심점과의 거리, 두 가지입니다.만유인력=G*M*m/r^2G는 중력상수(변하지 않음)M은 지구의 질량(변하지 않음)m은 중력의 영향을 받는 물체의 질량r은 지구와 물체의 무게중심점의 거리물체가 무거울수록 중력을 크게 받고 (중력가속도는 무게에 상관없이 동일합니다. 중력과는 다름)지면에 가까울수록 더 큰 중력을 받겠죠.(r이 작아짐)
물리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추운 겨울 입김은 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우리 몸은 호흡을 할 때 특정 기체만을 구분해서 들이쉬지 않습니다.폐와 바깥공기의 압력차로 바깥공기를 빨아들이고 내쉬는 방식입니다.이 때, 우리의 숨은 산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 여러 기체가 섞여있는데내뱉는 날숨의 수증기가 찬 바깥공기와 만나 액체(물)로 변하여 눈에 보이는게 입김입니다.
화학
2022년 12월 19일 작성 됨
Q.
기름과 물에 성질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기름과 물은 끓는 점이 다릅니다.물은 100도가 되면 기체로 변하죠.기름은 더 높은 온도에서 끓습니다.끓는 기름에 물이 들어가면 기름이 더 끓는게 아닌, 들어간 물이 순식간에 기화하며 팽창하기 때문에기름이 튕겨져 나와 이리튀고 저리튀고 하는 겁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