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더리움의 경우 비트코인에 비해 저평가 되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근거는 무엇이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떤지요?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이는 이더리움의 기술적 잠재력과 다양한 활용 사례에도 불구하고, 시가 총액과 가격 측면에서 비트코인보다 낮기 때문입니다.하지만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과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기반이 되고 있으며, 디파이와 NFT 시장의 주요 플랫픔으로 활용되어 이에 따른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일부 전문가들은 2025년까지 이더리움이 8천$ ~ 1만$ 사이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이러한 요인들을 종합하면 이더리움은 비트코인만큼의 상승 잠재력을 가질 수 있지만, 투자 결정 시에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Q. 월드코인의 경우 홍체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시스템인듯 하고 그래서 orb라는 것을 통해서 홍체를 인증하는것 같습니다. 개인정보를 도용하거나 하는 위험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월드코인은 개인의 홍채를 스캔해 이를 고유한 암호화 해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고 합니다.이 과정에서 실제 홍채 이미지는 저장하지 않고, 해시값으로만 보관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이를 통해 '한 사람, 한 계정'의 고유성을 보장하여 중복 가입과 사기를 방지합니다.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홍채 이미지를 직접 저장하지 않고, 암호화된 데이터(해시)로 변환해 보관하므로 데이터 유출시 원본 홍채 정보를 재구성하기 어렵습니다.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시값을 포함한 홍채 인증 데이터를 중앙 서버에 보관할 경우 해킹으로 인한 유출 가능성이 존재하긴 합니다. 그리고 해시값이 충분히 안전하지 않거나 암호화 방식이 취약할 경우 다른 시스템에서 약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월드코인 측인 이러한 우려에 대해 홍채 데이터는 해시 처리 후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방식으로 저장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또한 외부 기관이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분산 저장되어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고 합니다.이렇게 월드코인측은 보안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하나, 유저들은 운영 주체가 데이터 보호를 철저히 준수하는지, 홍채 인증 기술이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적절히 규제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Q. 우리나라 패스트푸드 중 소비 순위 top5는?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2024년 국내 패스트푸드 브랜드의 소비 순위를 매장 수와 매출액을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매장수 기준맘스터치 : 약 1400개 매장롯데리아 : 약 1326개 매장버거킹 : 약 440개 매장맥도날드 : 약 407개 매장노브랜드 버거 : 약 170개 매장매줄책 기준맥도날드롯데리아버거킹맘스터치이러한 자료를 종합하면, 매장 수에서는 맘스터치가 가장 많지만, 매출액에서는 맥도날드가 선두를 차지하고 있습니다.이는 각 브랜드의 매장당 평균 매출액과 브랜드 인지도, 고객 선호도 등의 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Q. S&P에 진짜로 꾸준히 적립식 투자만 하면 돈을 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S&P 500에 꾸준히 적립식으로 투자하면 장기적으로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지만 한계점도 있다는 것을 아시는 것이 중요합니다.장점으로는 S&P500은 미국 경제의 성장을 반영하며, 역사적으로 연평균 7 ~ 10%의 실질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적립식 방식은 주가가 낮을 때 더 많이 매수하고, 높을 때 적게 매수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복리 효과로 자산이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리고 시장 타이밍을 맞출 필요 없이 자동으로 투자하므로 감정적 결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하지만 S&P500은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하며, 단기간 내 큰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