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Q.  생활속에서 찾아볼수있는 자유낙하운동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자유낙하 운동은 일상에서도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만 움직임이 결정되는 운동을 말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공기 저항과 같은 다른 외부 요인들이 무시될 수 있을 때 더욱 명확하게 나타납니다. 일상 생활에서 자유낙하의 예는 우선, 손에서 펜이나 휴대전화를 떨어뜨릴 때, 이 물체들은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 운동을 합니다. 공기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이러한 작은 물체들의 운동은 자유낙하 운동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예로, 과수원에서 사과나 배와 같은 과일이 나무에서 떨어질 때, 이 역시 자유낙하 운동의 일종입니다. 과일의 무게로 인해 중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며, 공기 저항은 이들의 낙하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Q.  특정 식물에서만 나타나는 공생관계(예: 난초와 균류)는 어떻게 진화되었으며, 이를 농업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난초와 같은 식물은 자연 상태에서 특정 종류의 곰팡이와 공생 관계를 형성하여 진화해왔습니다. 이 공생 관계는 난초 종자가 발아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를 곰팡이가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난초 종자는 매우 작고 저장 영양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초기 성장 단계에서 곰팡이의 도움을 받아 필요한 영양을 획득합니다. 반대로, 곰팡이는 난초의 뿌리 체계로부터 유기물과 탄소를 획득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호 의존적인 관계는 수백만 년에 걸쳐 진화해 왔으며, 양쪽 모두에게 생존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공생 관계의 이해는 농업에서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특정 균류를 사용하는 바이오테크놀로지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균류는 식물의 뿌리와 공생하여 식물이 더 효율적으로 영양분을 흡수하고, 스트레스 조건(ex : 가뭄, 염분)에 더 잘 견딜 수 있게 돕습니다. 또한, 공생 균류는 식물이 토양 중의 무기 질소나 인 같은 중요한 무기 영양분을 이용할 수 있게 하여 비료 사용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여러 식품 품종이 개발되어 지속 가능한 농업 실천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생 미생물을 이용하여 향상된 스트레스 내성을 가진 작물 품종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품종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기존 작물과 비교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자원 사용 효율성이 더 높습니다.
Q.  자연발생설이 부정된 이후 해결하기 위해 나온 설은 무슨 설인가요?
안녕하세요. 자연발생설이 부정된 이후, 생명의 기원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 여러 이론이 제시되었습니다. 파스퇴르의 실험으로 자연발생설이 효과적으로 부정된 후,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주목받은 이론 중 하나는 "원시 스프(primordial soup)" 이론 또는 "화학진화설"입니다. 이 이론은 알렉산더 오파린(Alexander Oparin)과 J.B.S. 할데인(J.B.S. Haldane)에 의해 1920년대에 독립적으로 제안되었습니다. 화학진화설은 지구 초기의 환경에서 간단한 화학 반응을 통해 생명의 기본 요소가 형성되었다고 가정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초기 지구의 대기는 환원성이 강한 가스들(ex : 메탄, 암모니아, 수소, 증기)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러한 환경에서 에너지(ex : 번개, 자외선)의 영향을 받아 간단한 유기 분자가 생성되었습니다. 이 유기 분자들이 점차 복잡한 구조로 집합하여 최초의 생명체로 발전하게 된 것입니다. 이 이론의 실험적 증거는 1953년 스탠리 밀러(Stanley Miller)와 해럴드 유리(Harold Urey)에 의해 제공되었습니다. 그들은 유명한 밀러-유리 실험에서 초기 지구의 조건을 모방한 실험을 통해 유기 분자가 비생물적 과정으로 생성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메탄, 암모니아, 수소, 증기가 포함된 폐쇄된 시스템에 전기 스파크를 가하여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 분자를 생성하는데 성공했습니다.
Q.  인간 세포가 노화하는 과정에서 텔로미어가 짧아지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 과정을 지연시키기 위해 어떤 연구가 진행 중인가요?
안녕하세요. 텔로미어 손실을 지연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먼저, 텔로머라제(telomerase) 활성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텔로머라제는 텔로미어를 복구하고 재생하는 효소로,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거나 증가시켜 세포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장수 동물에서 텔로머라제의 활성이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 관찰되며, 이는 그들의 긴 수명과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 생활 습관 및 식습관의 조정을 통한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영양소의 섭취,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이 텔로미어의 손실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식단이 텔로미어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끝으로 유전자 편집 기술, 특히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텔로미어 길이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직접 조작하여 세포의 노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분석은 학술 저널 "Aging Cell" 과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에서 종종 다루어 지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과 발전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저널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하이젠 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는 양자역학의 근본적인 개념 중 하나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사이에 존재하는 근본적인 불확실성을 설명합니다. 베르너 하이젠베르크(Werner Heisenberg)가 1927년에 처음으로 제시한 이 원리는, 특정한 입자의 위치와 그 입자의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Δx⋅Δp ≥ h / 4π​ 여기서 Δx는 위치의 불확실성을, Δp는 운동량의 불확실성을 나타내고, h는 플랑크 상수(Plank`s constant)를 의미합니다. 이 불평등은 양자세계에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이 어느 정도 제한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보여줍니다. 불확정성 원리는 현대 물리학에서 중추적인 이론으로 여겨 집니다. 또한, 양자 컴퓨팅과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이 원리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1961971981992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