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인간 세포가 노화하는 과정에서 텔로미어가 짧아지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 과정을 지연시키기 위해 어떤 연구가 진행 중인가요?

노화와 관련된 세포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인간 수명 연장과 노화 질환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기 때문에 궁금해요. 많은 장수 동물들과 박테리아로 연구 중이라고 하던데, 결과가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텔로미어 손실을 지연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먼저, 텔로머라제(telomerase) 활성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텔로머라제는 텔로미어를 복구하고 재생하는 효소로,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거나 증가시켜 세포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장수 동물에서 텔로머라제의 활성이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 관찰되며, 이는 그들의 긴 수명과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 생활 습관 및 식습관의 조정을 통한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영양소의 섭취,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이 텔로미어의 손실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식단이 텔로미어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끝으로 유전자 편집 기술, 특히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텔로미어 길이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직접 조작하여 세포의 노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분석은 학술 저널 "Aging Cell" 과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에서 종종 다루어 지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과 발전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저널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텔로미어는 세포분열을할때 유전자가복제되며 점점 짧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더이상 짧아지지못하면 세포분열이 더이상 일어나지않고 그대로 노화하여 세포자살을 일으키거나 파괴된뒤 면역반응에의해 제거됩니다.

    연구자들은 이런텔로미어가 천천히 짧아지게하거나 짧아지지않는 동물들을 연구하여 증거를 찾고있지만 그렇다할 적용점이 나오고있지는 않습니다.

    주로 영양섭취와 운동,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찾아 저해요인을 제거하는방식의 연구가 진행되고있습니다.

  • 인간 세포의 텔로미어가 짧아지는 이유는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복제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이 과정에서 텔로미어 끝부분이 점진적으로 손실됩니다. 이를 지연시키기 위한 연구로는 텔로머라아제 효소 활성화를 통해 텔로미어를 유지하거나 연장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세포 노화 지연과 수명 연장 가능성을 높입니다. 장수 동물과 박테리아 연구에서는 텔로머라아제 활성이나 DNA 손상을 효율적으로 수리하는 메커니즘이 발견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 노화 방지 기술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