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반화학 결정장 이론 관련 개념과 문제 질문(1)
안녕하세요. 질문 여러개 올리셔도 됩니다. 언제든지 자세히 답변드릴께요. 항상 말씀드리지만 화학에 대한 열정을 응원합니다.^^ 질문 별로 구분해서 답변을 드려볼께요. 질문 1 : 착 이온의 홀전자 개수 구하기 착 화합물에서 중심 금속 이온의 홀전자 개수를 고려할 때, 대부분의 경우 리간드들이 제공하는 전자들이 중심 금속의 오비탈에 쌍을 이루어 들어가므로 홀전자의 수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리간드가 배위하면서 중심금속이온의 오비탈에 전자를 제공하지만, 이 전자들은 대부분 홀전자가 아닌 전자쌍 형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따라서, 중심 금속 이온의 홀전자만이 착 이온의 홀전자 수를 결정짓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CoCl₄]²⁻의 경우, Co²⁺ 이온의 전자 구성은 3d⁷이고, 이 중 홀전자는 3개입니다. 리간드인 클로라이드 이온들이 제공하는 전자쌍은 Co²⁺의 빈 오비탈에 채워지게 되어, 홀전자 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착 이온 전체의 홀전자 수도 3개가 됩니다. 질문 2 : [PtCl₄]²⁻의 전자 배치 [PtCl₄]²⁻ 착 이온에서의 전자 배치가 Pt²⁺의 전자 배치와 같다고 설명되는 이유는, 리간드가 제공하는 전자쌍이 중심 금속의 오비탈에 전자쌍으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Pt²⁺는 5d⁸ 구성을 가지며, d 오비탈은 10개의 전자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d 오비탈에 이미 8개의 전자가 존재하므로, Pt²⁺는 기본적으로 저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리간드인 클로라이드 이온들은 강한장 리간드가 아닌 약한장 리간드로 분류되므로, Pt²⁺의 d 오비탈 전자 구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즉, Pt²⁺의 d 오비탈은 이미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있어, 추가적인 전자쌍이 들어와도 d 오비탈의 전자 구성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PtCl₄]²⁻ 착 이온의 전자 배치는 기본적으로Pt²⁺의 전자 배치와 일치하게 됩니다.
Q. 화학 반응에서 촉매가 어떻게 작용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촉매가 화학 반응에서 작용하는 원리는 화학적 반응 경로를 변경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감소시키는데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은 반응물들이 촉매 표면에 흡착되면서 새로운 전이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진행됩니다. 이 전이 상태는 원래의 반응 경로보다 에너지가 낮아, 결과적으로 반응 속도가 증가합니다. 촉매가 반응 후에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이유는 촉매가 반응물과의 복합체를 형성한 후, 최종 생성물을 방출하고 본래의 형태를 회복하기 때문입니다. 촉매의 이러한 특성은 촉매가 반응 도중 소모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합니다. 실생활에서의 촉매 활용 예는 다양합니다. 자동차의 촉매 변환기에서는 독성이 높은 배기 가스를 덜 해로운 물과 이산화탄소로 전환하는 데 촉매가 사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백금과 같은 귀금속 촉매가 활용되어,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산업 공정에서는 하버-보쉬 공정에 철 촉매를 사용하여 질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암모니아를 대량으로 생산합니다. 이 암모니아는 비료와 같은 여러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원료로 사용됩니다. 이런 촉매의 작용 원래는 대학 수준의 화학 교과서와 연구 논문에서 자세히 설명되고 있습니다. Chemical Kinetics and Dynamics (Steinfeld, Francisco, Hase)에서는 촉매가 활성화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과정과 그에 따른 반응 속도 증가에 대해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있습니다.
Q. 똥 싸고 똥냄새 날 때 샴푸로 손 씻으면 냄새 없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대변 냄새는 대변에 포함된 황 화합물, 질소 화합물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 화합물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강한 냄새를 가지고 있어 손에 묻었을 때 그 냄새가 오랫동안 남을 수 있습니다. 샴푸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 사이의 긴장을 감소시키며 기름과 물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똥 냄새의 주요 원인이 되는 유기 화합물들이 손에 묻었을 때, 이 계면활성제가 유기 화합물을 물과 섞이게 하여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샴푸에 포함된 향로와 다른 화학 성분들도 냄새 분자를 중화시키거나 덮어쓰는 역할을 하여 냄새를 감소시킵니다. 더불어 샴푸는 일반 비누나 손 세정제보다 더 강력한 향과 세정력을 가질 수 있어, 이러한 성분들이 냄새 제거에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샴푸로 손을 씻었을 때 냄새가 사라지는 것은 샴푸의 계면활성제가 냄새 유발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향로가 새로운 냄새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Q. 행렬역학의 오류를 고전역학으로 설명해 낸 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과 슈뢰딩거의 파동역학은 양자역학의 발전에서 중요한 두 축을 이룹니다. 두 이론은 처음에는 서로 다른 접근 방식으로 보였으나, 물리적으로는 동등한 이론임이 밝혀졌습니다.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은 1925년에 개발되었으며, 전자와 같은 양자적 입자들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비결정론적 모델입니다. 하이젠베르크는 위치와 운동량과 같은 물리량들을 행렬로 표현하고, 이 행렬들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특히, 그의 접근법은 위치와 운동량의 곱이 교환 가능하지 않다는, 즉 교환관계 PQ − QP= h / 2πi를 도입하여 양자역학의 기본적인 불확정성 원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했습니다. 반면, 슈뢰딩거는 1926년에 파동역학을 개발하며 다른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슈뢰딩거는 입자를 고전역학적 파동으로 모델링하여, 입자의 상태를 파동함수 ψ로 나타내고, 이 파동함수가 슈뢰딩거 방정식 iℏ ∂ψ / ∂t = Hψ을 따르도록 했습니다. 이 방정식은 해밀토니안 H을 사용하여 파동함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설명합니다. 슈뢰딩거는 이 파동역학을 통해 입자의 위치나 운동량을 확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했습니다. 슈뢰딩거는 처음에는 하이젠베르크의 접근법과 자신의 이론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했지만, 나중에 두 이론이 수학적으로 동등함을 인정했습니다. 슈뢰딩거 자신도 자신의 파동함수를 행렬역학의 언어로 재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양자역학의 다른 형태로서 파동역학을 고전적 개념에 더 가깝게 연결시켰습니다.
Q. 사향소는 어떤 점에서 양이나 염소에 가까워요?
안녕하세요. 사향소는 그 특이한 외형과 분류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양과 염소에 더 가까운 동물입니다. 사향소는 봉우리과(Caprinae)에 속하며, 이 과에는 다양한 종류의 양과 염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봉우리과의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견고하고 튼튼한 발굽, 강력한 등산 능력, 거친 산악 지형에서의 생존 능력을 공유합니다. 사향소의 물리적 특징 중 몇 가지는 양이나 염소와 유사한 점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사향소의 뿔은 종종 뒤로 휘며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일부 산양의 뿔과 유사합니다. 또한, 사향소는 겨울철에 두꺼운 털을 자라게 하여 혹한의 기후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산악지대에서 살아가는 많은 양과 염소 종에서 볼 수 있는 특성입니다. 발굽의 형태 역시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사향소의 발굽은 견고하고 넓어서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이나 미끄러운 지면에서도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합니다. 이는 특히 산악 지대에서 서식하는 양과 염소에게 필수적인 특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