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Q.  땀은 어떤 물질로 만들어져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땀의 구성은 주로 물(H₂O)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의 약 99%를 차지합니다. 이외에도 땀에는 소량의 전해질과 유기 및 무기 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요 전해질로는 나트륨(Na⁺), 칼륨(K⁺), 칼슘(Ca²⁺), 마그네슘(Mg²⁺)이 있으며, 이들은 체내 전해질 균형 유지에 기여합니다. 또한, 요소(CO(NH₂)₂)와 락트산(C₃H₆O₃)도 땀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는 각각 단백질 대사와 혐기성 운동 중 생성된 산물입니다. 포도당과 아미노산 등의 유기물도 미량 포함되어 있습니다. 땀이 나는 과정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피부 표면의 박테리아가 땀 속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성하는 부산물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박테리아는 땀 중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을 분해하고, 이로 인해 다양한 휘발성 화합물이 생성되어 냄새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땀 자체보다는 이러한 박테리아의 활동이 냄새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Q.  노벨과학상은 몇년정도 연구해야 받나요?
안녕하세요. 노벨상을 수상하기까지의 연구 기간은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십 년에 걸친 지속적이고 혁신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대부분의 수상자들은 평생을 그 분야의 연구에 헌신한 경우가 많습니다. 노벨상은 개인이나 연구팀이 특정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었을때 주어지는 상이기 때문에, 단순히 연구 기간만으로 수상 여부를 결정짓는 것은 아닙니다. 과학자가 노벨상을 수상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견이나 중대한 기여를 해야 하며, 이러한 업적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아야 합니다. 이러한 발견이나 연구 결과가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그 영향을 미치고,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검증되고 확장되었는지가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됩니다. 한국 과학자들도 많은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노벨상 수상은 시간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과학자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연구 환경, 지원 시스템, 국제적 협력과 교류 등많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노벨상 수상을 위해서는 개인의 연구 외에도 많은 지원과 국제적인 인정이 필요합니다.
Q.  우리몸에 신장이 없을 경우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장이 없는 상황, 즉 신장 기능의 결여는 인체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장은 우리 몸에서 필수적인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은 대사 산물과 불필요한 물질을 혈액에서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체내의 전해질 균형(Electrolyte balance), 산-염기 균형(Acid-base balance), 그리고 수분 균형(Water balance)이 유지됩니다. 신장의 기능이 상실되면, 몸은 이러한 노폐물을 제거할 수 없게 되어 독성 물질이 체내에 축적되기 시작합니다. 이는 우레미증(uremia)으로 알려져 있으며, 노폐물 축적은 다양한 신체 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전해질 균형이 깨지면 심장 리듬 장애나 근육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염기 불균형은 호흡 곤란을 유발하고 신체의 다른 대사 과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신장이 없을 경우, 이러한 문제들을 관리하기 위해 인공적인 방법으로 신체의 정화 과정을 대체해야 합니다. 이는 주로 혈액 투석(Dialysis)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투석은 기계를 사용하여 혈액 속의 노폐물과 초과된 물질을 제거합니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신장 이식(Kidney transplantation)이 있으며, 이식된 신장이 기능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신체 활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처럼 신장의 부재는 극복할 수 없는 신체적 결함이 아니라, 적절한 의학적 개입을 통해 관리될 수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는 환자의 생활 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인 의료적 관리가 필요한 상태로 남습니다.
Q.  잡초가 생태계에 무슨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잡초는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 영향은 환경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일 수 있습니다. 잡초는 강인한 생명력과 빠른 번식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해 생태계에 여러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잡초는 경쟁적인 생존 전략을 통해 원래의 식생을 밀어내고 자신들의 서식지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토착 식물종이나 다른 생물들의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특정 지역의 생물 다양성(biodiversity)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잡초가 우점적인 환경에서는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유기물을 토양에 공급하여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잡초는 일부 야생동물과 곤충에게 서식지나 식량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생태계의 일부 구성원에게는 생존 자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잡초가 무분별하게 확산될 경우, 인간의 농업 활동에 해가 될 수 있으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지역에서는 잡초의 통제와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잡초의 생태계에 대한 영향은 그것이 위치한 환경과 관리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그들의 긍정적인 역할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생태계 관리와 생물 다양성 보존의 중요한 측면입니다.
Q.  정자가 난자를 선택하는게 아니라 난자가 정자를 유인해서 정자들중에 선택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책에서 읽으신 내용은 흥미로운 부분을 잘 지적하고 있습니다. 생식 과정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화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들은 정자와 난자의 상호작용이 예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정자가 능동적으로 난자를 찾아 헤맨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은 어느 정도 사실이기는 하지만, 이 과정에서 난자의 역할이 수동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러나 ,난자 역시 정자를 유인하고 선택하는데 매우 능동적인 역할을 합니다. 난자는 주변으로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정자를 유인합니다. 이 화학물질은 정자에게 난자의 위치를 알리는 신호 역할을 하며, 정자의 운동 방향을 난자 쪽으로 유도합니다. 난자는 종종 여러 정자가 접근하는 상황에서 특정 정자를 선택합니다. 이 선택 과정은 정자의 건강 상태, 유전적 질 및 그 외 다른 요인들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난자 표면에는 정자와 상호작용하는 특정 수용체가 있으며, 이 수용체는 일부 정자의 결합을 더 선호할 수 있습니다. 일단 정자가 난자 표면에 도달하면, 난자는 정자가 자신의 표면을 관통할 수 있도록 특정 생화학적 반응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은 난자가 정자를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며, 결국 정자의 DNA가 난자 내로 들어가 수정을 일으킬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발견들은 생식 과정에서 난자의 역할이 단순한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라, '능동적 참여자'로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것은 생물학적 상호작용의 복잡성과 섬세함을 잘 보여주는 예입니다. 따라서 난자와 정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두 요소가 서로를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4014024034044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