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Q.  최근의 트렌드가 브랜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 어떤 변화를 주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의 트렌드는 브랜드의 운영과 마케팅 전략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소비자의 가치관 변화, 디지털 기술의 발전,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가는 브랜드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소비자 중심의 가치고나 변화가 브랜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의 기능성이나 가격에만 관심을 두지 않고, 브랜드의 사회적 책임과 가치관을 중시합니다. 이에 따라 브랜드들은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요소 들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거나 친환경적인 원재료를 사용하여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강조하는 브랜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 디지털 트렌드와 기술 발전은 브랜드의 고객 소통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소셜 미디어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은 소비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더욱 개인화할 수 있는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를 들어, 브랜드는 소비자의 검색 기록과 선호도를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광고나 제품 추천을 제공하여 더욱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거나, 소비자와 더 가깝게 소통하려는 노력이 보편화 되고 있습니다. 끝으로, 최근의 팬데믹과 그 후속 영향으로 소비자들은 건강과 안전,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브랜드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많은 브랜드들이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품 라인업을 건강한 옵션으로 확장하거나, '면역력 강화' 같은 키워드를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Q.  갈매기가 새우깡을 먹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갈매기가 새우깡과 같은 스낵을 즐겨 먹는 이유는 그들의 식성 및 본능적인 먹이 탐색 행동에 기인합니다. 갈매기는 기회주의적 포식자(opportunistic feeder)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음식은 거의 가리지 않고 섭취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향 덕분에 갈매기는 해양에서 어류나 무척추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이 제공하거나 버린 음식까지도 먹을 수 있습니다. 새우깡은 바다와 관련된 냄새와 맛이 있어 갈매기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며, 그 바삭한 질감과 짭짤한 맛이 갈매기에게는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인식됩니다. 과자는 당분과 지방이 풍부하여 인간에게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갈매기의 경우 그들의 높은 대사율 덕분에 이러한 음식이 비만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갈매기는 매우 활발한 활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날기 위한 에너지 소모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높은 칼로리 음식을 섭취하더라도 그 에너지를 금방 소모하게 됩니다. 특히 비행과 먹이 찾기, 그리고 번식기 동안의 에너지 소비는 매우 크기 때문에, 이로 인해 비만이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한, 갈매기는 자연 환경에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함으로써 영양 균형을 유지합니다. 새우깡과 같은 과자는 일종의 간식처럼 취급되며, 그 외에도 어류, 갑각류, 조류의 알 등 다양한 자연 먹이를 통해 영양소를 보충합니다. 따라서 새우깡만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식단을 가지기 때문에, 그들이 특정 음식만으로 인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받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결론적으로, 갈매기가 새우깡을 좋아하는 이유는 기회주의적인 식성과 높은 에너지 밀도의 간식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며, 비만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의 높은 대사율과 다양한 자연 먹이를 섭취하는 습성에 기인합니다.
Q.  탄소가 화합할수 없는 물질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탄소는 네 개의 결합 가능한 전자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원소들과 결합을 형성하는 화학적 유언성을 지닌 원소입니다. 이는 유기화합물의 다양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이며, 현재까지 알려진 탄소화합물의 수가 500만 종이 넘는다고 추정될 정도로 화학적 다채로움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탄소는 모든 원소와 화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정 조건에서는 탄소가 결합을 형성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먼저, 비활성 기체(희귀 기체, noble gases)와의 화합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등과 같은 비활성 기체들은 최외각 전자 껍질이 가득 차 있어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원소들은 화학적 반응에 거의 관여하지 않으며, 전자를 주거나 받으려는 경향이 없기 때문에 탄소와 결합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또한, 탄소는 대부분의 금속 원소와 화학 결합을 형성하지 않습니다.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은 화학적 반응성이 매우 낮으며, 탄소와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안정적인 화합물을 형성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리튬(Li), 나트륨(Na), 칼슘(Ca) 같은 금속 원소는 일반적인 조건에서 탄소와의 화학적 반응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이 금속, 예를 들어 철(Fe)과는 카바이드(carbide) 같은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금속 간 결합과 탄소의 결합이 이루어진 독특한 화합물입니다. 마지막으로, 탄소가 결합을 형성하기 어려운 상황은 특정한 극한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순수한 산소가 존재하는 고온 조건에서는 탄소가 완전히 산화되어 이산화탄소(CO₂)를 형성하게 되며, 다른 안정적인 화합물로의 전환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경우, 탄소는 산화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며, 화합물 형성보다는 산화 상태로 남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탄소는 매우 다양한 원소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비활성 기체나 일부 금속 원소들과의 결합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Q.  등산을 하다가 벌에 쏘이면 죽을수도있나요?
안녕하세요. 등산을 하다가 벌에 쏘이면 사람에게 매우 위험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벌의 침에는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사람의 면역 체계가 과민 반응을 보이는 경우 치명적인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라고 불리며, 매우 빠르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나필락시스는 벌 독에 대한 급성 알레르기 반응으로, 혈압의 급격한 저하, 호흡 곤란, 부종, 피부 발진, 심한 경우에는 의식 소실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벌에 한 번 이상 쏘였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적이 있는 사람에게서 더욱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응급처치와 의료적 개입이 필요하며, 이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 자동주사기와 같은 응급 약물을 사용해 신속해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벌이 집단적으로 공격할 경우, 다수의 침에 의해 심각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벌의 침은 독소가 혈류를 통해 신체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다량의 독이 주입된 경우 신장 기능 저하, 심장 마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물속으로 총을 쏘면 효력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물속에서 총을 쐈을 때의 효력은 물의 높은 밀도와 저항 때문에 공기 중에서와는 매우 다르게 나타납니다. 물은 공기보다 약 800배 더 밀도가 높기 때문에, 총알이 물속으로 들어가면 급격한 저항을 받으며 빠르게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그 결과, 총알의 사거리와 관통력은 물 속에서 크게 제한됩니다. 총알은 물속에 들어가면 짧은 거리 안에서 거의 모든 운동 에너지를 잃게 됩니다. 물이 총알의 진행 방향에 큰 저항을 가하기 때문에, 보통 고속으로 발사되는 총알도 물속에서는 2m 정도로 제한됩니다. 더구나 총알의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운동이 불규칙하게 되어 명중률도 크게 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탄환이 물에 진입하면 불안정하게 흔들리며 직선 궤도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목표물에 정확하게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이는 물의 높은 밀도와 저항이 운동량의 손실을 가속화하기 때문입니다. 뉴턴의 제 2법칙(힘 F = ma)에 따라, 물에서 총알이 받는 저항력은 고익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가속도가 매우 크게 줄어듭니다. 총알의 운동 에너지(Eₖ = ½ mv²)도 빠르게 감소하여, 관통력이 거의 사라지게 됩니다. 또한, 총알의 종류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탄환의 형태와 무게에 따라 물속에서의 효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물은 총알의 속도를 빠르게 줄이므로 ,물속에서는 총을 쏘아도 공기 중에서처럼 치명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영화에서 물속으로 총을 쏘는 장면은 시각적으로는 흥미롭지만, 실제 상황에서 물 속의 목표물을 맞추거나 관통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효과적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은 총알의 운동을 빠르게 제어하기 때문에, 물속에서는 총을 쏘는 것이 거의 효과가 없습니다.
4014024034044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