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류의 수명에는 한계가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인류의 수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온 것은 주로 의료 기술의 발전, 위생 상태의 개선, 영양 상태의 향상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류의 최대 수명에는 생물학적 한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발전도 여전히 도전적인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인간의 세포는 분열할 수 있는 횟수에 제한이 있으며, 이를 헤이플릭 한계(Hayflick limit)라고 합니다. 세포 분열이 반복될 때마다, 염색체 말단에 위치한 텔로미어(telomere)가 점점 짧아지면서 세포가 노화하고 기능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결국 노화와 관련된 질병으로 이어지며, 세포 수준에서 인간의 수명을 제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텔로미어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손상된 세포를 재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의료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인류의 기대 수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치료(genetic therapy)와 재생 의학(regenerative medicine)은 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아가 나노기술(nanotechnology)을 활용하여 세포 내에서 손상된 분자를 복구하거나 새로운 조직을 재생할 수 있는 기술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정밀 의학은 개인별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하여 건강 상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미래에는 이러한 기술들이 결합되어 인간의 최대 수명을 연장할 가능성이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할 여러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노화는 단일한 생맂거 현상이 아닌,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의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 가지 기술만으로 노화를 극복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사이토크롬과 같은 산화적 손상을 줄이는 연구, 그리고 노화와 관련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치료법 등 다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 중에 다른 식물의 잎 모양을 따라 바꾸는 식물이 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식물 중에서 다른 식물의 잎 모양을 따라 바꾸는 위장 식물(mimic plant)이 존재합니다. 이 현상은 '의태(mimicry)'라고 불리며, 이러한 능력을 지닌 식물로는 대표적으로 호스트셀리아(Boquila trifoliolata)라는 식물이 있습니다. 이 식물은 다른 식물의 잎 모양, 크기, 색깔 등을 따라 변형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은 눈이나 뇌가 없기 때문에, 다른 식물의 잎 모양을 '보고' 따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과학자들은 식물이 주변 환경의 화학적 신호나 물리적 접촉, 빛의 질감 등을 감지하여 다른 식물의 잎 모양을 모방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변 식물들이 발산하는 화학물질을 감지하여 자신의 잎 모양을 변화시키는 방식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 신호는 공기 중이나 뿌리를 통해 전달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식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근접한 위치에서 식물이 그 형태를 모방할 수 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이는 식물이 주변의 물리적 특성을 감지하는 방식일 수 있습니다. 또, 식물은 빛의 질감이나 패터늘 감지하여 잎의 모양이나 색을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빛은 식물이 자라는 방향, 잎의 구조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주변의 식물에서 반사되는 빛의 특성도 잎 모양 변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태 현상은 주로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거나 경쟁 식물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설명됩니다. 예를 들어, 포식자가 잘 먹지 않는 특정 식물을 따라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거나, 주변의 다른 식물과 유사한 모양을 만들어 자신이 눈에 띄지 않게 하려는 전략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네의 독은 얼마나 강하나요?지네에게 물렸을때 증상은?
안녕하세요. 지네의 독은 비교적 강력한 신경독(neurotoxin)과 효소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성의 정도는 지네의 크기와 종에 따라 다릅니다. 지네는 독을 주입하여 먹이를 마비시키고 소화하기 때문에, 그들의 독은 곤충이나 작은 동물에게 치명적일 수 있으며, 사람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지네는 물릴 때 신경독과 효소가 혼합된 독을 분비합니다. 신경독은 신경계를 자극하여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효소는 주변 조직을 손상시켜 염증과 붓기를 유발합니다. 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거대 지네(Scolopendra gigantea)나 아시아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는 특히 독성이 강하며, 물릴 경우 강력한 신경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네들은 그들의 독성 때문에 중대한 의료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지네에게 물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주로 국소적인 통증, 염증, 붓기가 특징입니다. 물린 부위는 즉각적으로 강한 통증을 느끼며, 주변 조직이 부풀어 오르고 발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 통증은 몇 시간에서 며칠에 걸쳐 지속되며, 심한 경우 메스꺼움, 발열, 두통, 근육 경련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신경독의 직접적인 영향에 의한 것입니다. 지네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활동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는 물림 사고가 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물린 후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와 항염증제를 사용하고,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항히스타민제 또는 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메뚜기떼의 습격이 종종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메뚜기떼의 습격은 기후 변화, 생리적 변화, 환경적 조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적인 현상입니다. 메뚜기떼는 일반적으로 사막 메뚜기(Schistocerca gregaria) 같은 종이 대규모로 모여 다니며, 농작물과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입힙니다. 이 현상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기후 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메뚜기는 평상시 고립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생활하지만, 특정 조건에서 개체 밀도가 높아지면 군집 행동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 변화는 주로 비가 많이 내리고 식물이 급격히 자라서 먹이가 풍부해지는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메뚜기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 개체들이 밀집되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호르몬 분비와 행동이 변화합니다. 이 상태에서 메뚜기들은 더 활동적이 되고,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특성이 강화됩니다. 메뚜기떼의 발생은 특정 기후 조건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특히, 장기간의 가뭄 뒤에 내리는 집중적인 비가 메뚜기떼 발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비가 내리면 식물이 빠르게 자라면서 먹이가 풍부해지고, 이는 메뚜기 개체 수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조건이 됩니다. 또한, 이렇나 환경에서 메뚜기들이 밀집되면서 군집 행동을 하게 되고, 대규모로 이동하며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메뚜기떼 현상이 발생합니다. 기후 변화는 메뚜기떼의 출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후 위기로 인해 가뭄과 폭우가 빈번해지면서, 메뚜기떼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비와 온도 변화는 메뚜기 서식지의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메뚜기들이 더 쉽게 군집 행동을 하게 되는 조건을 만듭니다. 또한, 기후 변화는 메뚜기 서식지를 확장시키고,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지역을 넓히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메뚜기떼가 출몰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은 서식지의 변화입니다. 농업 활동이나 인간의 환경 파괴로 인해 자연 서식지가 파괴되거나 변형되면, 메뚜기들은 새로운 먹이원을 찾아 대규모로 이동하게 됩니다. 또한, 사막화와 같은 환경 변화는 메뚜기들이 군집 형태로 생활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대규모 메뚜기떼 형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메뚜기떼의 습격은 특정한 기후와 환경 조건에서 발생하는 군집 행동의 결과로, 기후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장기간의 가뭄 후 집중적인 강우는 메뚜기 개체 수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군집 형태로 이동하는 특성이 강화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잠자리는 지구상에서 언제 출현한 곤충인가요?
안녕하세요. 잠자리는 지구상에서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진 곤충입니다. 잠자리목(Odonata)에 속하는 잠자리와 같은 곤충들은 약 3억 2천만 년 전, 고생대 석탄기(Carboniferous period)에 처음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곤충들이 지구 상에서 비행을 시작한 초기 시기 중 하나로, 잠자리는 당시부터 고도로 발달한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석탄기 당시의 잠자리는 오늘날의 잠자리보다 훨씬 큰 종들이 많았으며, 가장 큰 종은 날개를 펼쳤을 때 약 70cm에 달하는 메가네우라(Meganeura)라는 종이었습니다. 이 시기는 대기 중 산소 농도가 높아 곤충들의 크기가 크게 발달할 수 있었던 시기이기도 합니다. 잠자리는 그 시기부터 지금까지, 뛰어난 비행 능력과 시각적 감각, 포식자로서의 우수한 사냥 능력을 유지하며 다양한 생태계에서 상위 포식자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잠자리는 현재도 고도로 진화한 비행 메커니즘을 통해 뛰어난 기동성을 자랑하며,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5015025035045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