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발바닥을 긁으면 간지러운가요??
안녕하세요. 발바닥이나 겨드랑이, 옆구리, 목 옆 같은 부위가 긁을 때 간지럽게 느껴지는 이유는 이들 부위의 피부가 매우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발바닥은 수많은 신경 말단이 집중되어 있어, 자극에 대한 반응이 매우 민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부위들은 일상적으로 외부 자극에 노출되는 빈도가 낮기 때문에, 터치나 긁힘에 대한 감각이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부위들은 간지럼을 느끼기 쉬운 부위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 벌은 어떤 벌인가요? 사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사진에 제공된 정보만으로 정확한 종류를 판별하는데 제한이 있음을 미리 양해를 구하고 답변 드립니다. 말벌과 비슷하게 보일 수 있는 다른 곤충으로 추측됩니다. 검털파리(Stiletto fly)가 아닌가 싶습니다. 검털파리는 말벌처럼 보일 수 있지만 행동양식과 생태가 다릅니다. 검털파리는 머리 부분이 상대적으로 작고, 복부가 길며 가늘게 뻗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말벌보다 더 가늘고 긴 몸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사람을 공격적으로 쏘지 않으며 독성이 없습니다. 주로 다른 작은 곤충을 사냥하는 포식자 입니다. 추가 사진이 있다면 첨부해주시면, 더 정확하게 어떤 곤충인지 추가 댓글 드리겠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잡종도 진화로 인해 생긴 종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잡종(hybrids)과 진화(evolution)는 생물학적으로 다른 개념이지만, 어떤 면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두 현상을 이해하려면 각각의 정의와 생물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잡종은 서로 다른 종(species) 또는 품종(breeds) 사이에서 교배하여 생산된 후손을 의미합니다. 예컨데, 말과 당나귀 사이에서 나오는 노새(mule)나 사자와 호랑이 사이에서 태어난 라이거(liger)가 잡종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잡종은 일반적으로 자연 상태보다는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더 자주 발생하며, 이들은 때때로 생식 능력에 제한을 가지고 있어 순수한 종의 개체군으로 통합되기 어렵습니다. 진화는 생물 종이 세대를 거듭하면서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자연 선택(natural selection), 유전자 돌연변이(genetic mutation), 유전적 드리프트(genetic drift)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진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의 변화를 초래하며, 이는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의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입니다. 잡종화는 진화 과정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초기 종의 분화 과정에서 잡종화가 종의 적응과 진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잡종 개체가 새로운 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는 유전적 특성을 가질 경우, 이는 자연 선택을 통해 우위를 점하고 결국 새로운 종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매우 드문 경우이며, 대부분의 잡종은 생식적 장벽 때문에 자신의 후손을 남기지 못하고 종의 지속성에 기여하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잡종 자체를 진화의 결과로 보기보다는 진화 과정 중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의 일부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잡종화는 종간의 경계가 모호할 때 또는 인위적인 교배가 일어났을 때 발생하며, 진화는 이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복잡한 생물학적 변화를 포함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중 양서류와 파충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양서류와 파충류의 구분은 몇 가지 주요한 생물학적 특성에 근거합니다. 양서류(Amphibia)는 투과성이 있는 습한 피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피부는 수분과 가스 교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많은 양서류는 피부를 통해 일부 호흡 활동도 수행합니다. 반면, 파충류(Reptilia)의 피부는 건조하고 비늘로 덮여 있어,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물리적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비늘은 각질(Keratin)로 구성되어 있어 피부를 통한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양서류는 대체로 외부 수정을 통해 수생 환경에서 알을 낳습니다. 이들의 알은 보호막이 없어 취약하며, 초기 발달 단계에서 물에 의존합니다. 유생은 수생 생활을 하며 점차 성체로 변태를 겪게 됩니다. 파충류는 내부 수정이 일반적이며, 대부분의 종은 알을 낳습니다. 이 알들은 가죽 같은 껍질이나 단단한 껍질로 보호되며, 유생 단계 없이 성체와 유사한 형태로 태어납니다. 양서류는 호흡기와 순환계가 비교적 간단하며, 성체가 되어도 일부는 아가미, 피부 ,폐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호흡합니다. 파충류는 발달된 폐를 통해서만 호흡하며, 더 효율적인 순환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더 활동적인 육상 생활이 가능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인체에 녹는실은 어떤원리로 녹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인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흡수성 봉합사는 특정 생분해성 폴리머(polymer)로 제작됩니다. 이 폴리머들은 인체 내의 효소와 물에 의해 가수분해(hydrolysis) 반응을 겪으면서 점진적으로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인체에 의해 흡수되거나 배출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술 후 추가적인 제거 수술 없이 봉합사가 자연스럽게 소멸됩니다. 흡수성 봉합사는 주로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 PG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 PLA), 및 그들의 공중합체인 폴리글리콜리드-코-카프로락톤(Ployglycolide-co-caprolactone ; PGLA)와 같은 생분해성 폴리머로 만들어집니다. 이들 재료는 각각 다른 기계적 강도와 분해 속도를 가지며, 수술의 종류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폴리머가 선택됩니다. 가수분해는 이러한 폴리머가 물과 반응하여 그들의 긴 사슬 구조가 점차 짧은 분자로 분해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인체 내의 pH 및 온도와 같은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분해의 결과로 형성된 저분자 물질은 생체 내에서 추가적인 대사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전환되거나, 간단한 분자로서 체외로 배출됩니다. 이러한 흡수성 봉합사는 특히 내부 조직의 봉합에 유용하며, 점차 강도를 잃으면서 조직의 자연 치유 과정과 시기를 맞추어 자연스럽게 소실됩니다. 이로 인해 환자는 수술 후 봉합사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 없게 되며, 치유 과정에서의 불편함과 감염 위험이 감소됩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봉합사는 고도의 공학적 설계와 생화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되어, 현대 의학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들의 개발은 재료 과학, 화학, 생물학적 공학의 접목을 통해 가능해진 결과물입니다.
6166176186196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