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척추동물의 종류는 어떤 종류로 분류 될까요?
안녕하세요. 척추동물(Vertebrates)은 척삭동물문(Phylum Chordata)에 속하는 동물군으로, 뚜렷한 척추를 가진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어류(Fishes), 양서류(Amphibians), 파충류(Reptiles), 조류(Birds), 포유류(Mammals)가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매질없이도 전달가능한 파동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s)는 매질 없이도 전달 가능한 대표적인 파동입니다. 이는 매질이 필요하지 않고 진공에서도 전파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전자기파는 전기장(Electric Field)과 자기장(Magnetic Field)이 서로 직각으로 진동하며 진행하는 파동입니다. 이 두 장(Field)은 서로의 변화를 유도하며 진공에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빛의 속도로 전파되며, 이는 매우 높은 속도로 전자기파가 멀리 떨어진 곳까지도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전자기파는 다양한 파장과 주파수를 가지며 이는 전자기 스펙트럼으로 표현됩니다. 전자기파에는 가시광선, X선, 감마선, 적외선, 자외선, 라디오파 등이 포함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 곤충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사진 속 곤충은 장미풍뎅이(Cetonia Aurata)인 것으로 보입니다. 장미풍뎅이는 금속성 광택이 나는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녹색이나 황금색 빛을 띠는 특징이 있습니다. 장미 풍뎅이는 한국을 비롯한 유럽과 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으로 특별히 히귀한 곤충은 아닙니다. 그러나 아름다운 외형으로 인해 곤충 애호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주로 꽃을 먹으며, 특히 장미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뜨거운 음식 먹을때 화상 입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뜨거운 음식에서 나오는 '김'은 수증기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입니다. 당연히, 김은 충분히 뜨겁고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수증기는 물이 끓을 때 발생하며, 끓는 물의 온도는 보통 100도 입니다. 그러나 김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면 빠르게 온도가 내려갑니다. 음식 표면에서 바로 방출된 김은 매우 뜨거울 수 있지만, 공기 중으로 퍼지면서 열을 잃게 됩니다. 화상을 입기 위해서는 높은 온도가 피부에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접촉해야 합니다. 김은 공기 중으로 빠르게 퍼지기 때문에 피부에 닿는 순간 열을 빨리 잃습니다. 이로 인해 짧은 시간 동안 접촉하는 김은 화상을 입히기에 충분한 열을 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일반화학 열화학 열량계의 흡열반응 발열반응
안녕하세요. 열화학에서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을 구별하는 것은 시스템(계)과 주위(Environment) 간의 에너지 이동에서 기초합니다. 발열반응은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시스템이 에너지를 주위로 방출하는 과정입니다. 이로 인해 주위의 온도가 상승합니다. 시스템 내에서는 반응물의 에너지가 생성물로 전환되면서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이 과정에서 시스템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지만, 중요한 점은 에너지가 시스템에서 주위로 이동한다는 점입니다. 흡열반응은 시스템이 주위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는 과정입니다. 이로 인해 주위의 온도는 감소합니다. 시스템 내에서는 반응물에서 생성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흡수됩니다. 시스템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지만, 중요한 점은 에너지가 주위에서 시스템으로 이동한다는 점입니다. 질문 주신 상황은 반응물 A와 B의 초기 온도 10도, 생성물 C의 최종 온도 25도로 이해됩니다. 이 경우,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계 내에서 온도가 10도에서 25도로 상승했습니다. 계의 온도가 10도에서 25도로 상승했다는 것은 반응이 일어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에너지는 열ㄹ ㅗ변환되어 시스템 내에서 온도를 상승시켰습니다. 중요한 점은 에너지가 계 내에서 방출되어 주위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계 내에서의 에너지 방출로 인해 온도가 상승한 것입니다. 이는 발열반응의 특성입니다. 에너지가 방출될 때, 시스템의 내부 에너지가 감소하지만 방출된 에너지는 시스템 내에 남아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의 온도 변화가 10도에서 25도로 상승한 것은 발열반응의 결과로 간주됩니다. 화학에 대해 진심이신 것 같아서, 성의껏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제 답변이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6916926936946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