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 손가락마다 같이 안 움직이는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가락을 움직이는 주요 힘줄 중 일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약지(네 번째 손가락)와 새끼손가락은 힘줄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어, 약지가 움직일 때 새끼손가락도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힘줄의 공유는 손가락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손가락을 굽히는 근육은 각각의 손가락에 독립적으로 존재하지만, 이 근육들은 손목을 지나면서 서로 가까이 위치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 손가락을 움직일 때 다른 손가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 헤모글로빈의 알로스테릭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알로스테릭 효과(Allosteric Effect)는 산소가 결합함에 따라 발생하는 구조적 변화에 의해 나타납니다. 산소가 하나의 서브유닛에 결합하면, 이 결합은 나머지 서브유닛들의 산소 결합 친화도를 증가시킵니다. 이를 협동 효과(Cooperative Effect)라고 하며, 헤모글로빈의 산소 해리 곡선은 S자 형태를 띠게 됩니다. 산소 분압이 높을수록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결합하기 쉽습니다. 이는 주로 폐에서 발생하며, 산소 분압이 높아지면 헤모글로빈의 산소 친화도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조직에서 산소 분압이 낮을 때 헤모글로빈은 산소를 방출하게 됩니다. 이런 특성은 조직에 효율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헤모글로빈의 산소 친화도에 반비례 합니다. 조직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헤모글로빈은 산소를 덜 결합하게 됩니다. 이는 보어 효과(Bohr Effect)로 알려져 있으며, 이산화탄소가 많을 수록 헤모글로빈은 더 많은 산소를 방출하여 조직에 산소를 공급합니다. 혈액의 pH는 헤모글로빈의 산소 결합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pH가 낮아지면 헤모글로빈의 산소 친화도는 감소합니다. 이는 조직에서 대사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생성된 H+ 이온이 헤모글로빈의 산소 방출을 촉진하는 기작입니다. 이 역시 보어효과의 일부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Q. 지구에서 강한 에너지를 가진 레이져를 쏜다면 달까지 갈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구에서 강한 에너지를 가진 레이저를 쏘면 달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NASA와 다른 연구기관들은 달에 설치된 반사기를 향해 레이저를 쏘아 거리 측정 실험을 오랫동안 진행해 왔습니다. 이러한 실험은 아폴로 11호, 14호, 15호 미션 중에 달에 설치된 반사기를 활용합니다. 이 반사기는 레이저를 반사하여 지구로 다시 돌아오게 하며, 이를 통해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랠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빛은 직진성을 가지며, 진공 상태에서는 직선으로 무한히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약 384,400 km이며, 빛의 속도는 약 299,792 km/s이기 때문에 레이저 빛은 약 1.28초 만에 달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Q. 낙하구법을 사용하여 특정 액체의 점성도를 어떻게 구하나요?
안녕하세요. 낙하구법(Falling Sphere Method)을 이용하여 특정 액체의 점성도를 구하는 방법은 구체가 액체 속에서 일정한 속도로 낙하할 때, 구체의 낙하 속도와 액체의 점성도 간의 관계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주로 스토크스 법칙(Stoke`s Law)을 기반으로 하며, 정확한 점성도를 계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구체가 일정한 속도로 낙하할 때, 구체에 작용하는 중력, 부력, 점성 저항력이 균형을 이룹니다. 스토크스 법칙에 따르면, 구체가 액체 속에서 일정한 속도 v로 낙하할 때, 점성 저항력 Fᵈ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Fᵈ = 6πηrv 여기서 η는 액체의 점성도(Pascal-Second ; Pa·s), r은 구체의 반지름(m), v는 구체의 낙하 속도(m/s)입니다. 구체에 작용하는 중력 Fᵍ와 부력Fᵇ는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Fᵍ = (4/3)πr³ρₛg Fᵇ = (4/3)πr³ρₗg 여기서 ρₛ는 구체의 밀도(kg/m³), ρₗ는 액체의 밀도(kg/m³), g는 중력 가속도(m/s²)입니다. 구체가 일정한 속도로 낙하할 때, Fᵍ와 Fᵇ그리고 Fᵈ의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 Fᵍ - Fᵇ = Fᵈ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도출됩니다 : (4/3)πr³(ρₛ - ρₗ)g = 6πηrv 이 식을 η에 대해 정리하면, 점성도를 구할 수 있는 식이 나옵니다 : η = (2r²(ρₛ - ρₗ)g) / (9v)
Q. 생명공학을 전공하게 되면 나중에 의대에 진학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생명공학을 학부에서 전공한 후 의대에 진학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대부분의 의대는 생명과학, 화학, 물리학, 수학 등의 기초 과목을 섭렵한 인원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생명공학 전공은 이러한 필수 과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습니다. 생명공학 전공은 분자생물학, 유전학, 생화학, 세포 생물학 등 의대에서 필수적인 기초 과학 과목들을 심도 있게 다룹니다. 이러한 기초 과학 지식은 의대에서의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