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액체배지는 보관할 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액체 배지는 일반적으로 냉장 보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저온은 미생물의 대사 활동을 늦추어 배지의 변질을 최소화 합니다. 또한, 생물학적 오염의 가능성을 줄입니다. 배지를 밀폐 용기에 보관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이는 공기 중의 오염원으로부터 배지를 보호하고, 배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여 농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배지의 멸균 상태를 유지하며 보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배지를 사용하기 전과 사용 후에 적절한 멸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배지 내부의 비극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멸균 되지 않은 배지는 미생물 오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화학 물질을 포함한 배지라면 직사광선 등의 노출을 피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화학 물질은 빛에 민감하여 노출될 경우 화학적 성질이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배지는 어두운 곳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물은 왜 얼리면 부피가 팽창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물의 부피에 대한 질문을 종종 답변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만큼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물리분야의 궁금증을 유발하는 사례라고 생각됩니다. 다시 답변으로 돌아가겠습니다. 물이 얼면 부피가 팽창하는 현상은 물의 분자 구조와 그 구조 변화에 기인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물 분자의 독특한 화학적 특성입니다. 물 분자는 한 개의 산소 원자와 두 개의 수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성으로 인해 V자 형태를 갖게 됩니다. 이 때 산소 원자는 부분적으로 음전하를, 수소 원자는 부분적으로 양전하를 띄게 됩니다. 이런 전하의 분포로 인해 물 분자 간에는 수소 결합이 형성됩니다. 액체 상태에서는 이 수소 결합들이 끊임없이 형성되었다가 깨지기를 반복합니다. 그러나 온도가 낮아져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이 수소 결합들이 보다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결정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특히 얼음에서는 물 분자들이 정사각형 격자 모양으로 배열되는데, 이 배열은 액체 상태의 물에서 분자들이 느슨하게 모여 있는 것보다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합니다. 이로 인해 같은 무게의 물이 고체 상태가 될 때 부피가 늘어나게 되고, 이 때문에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커지는 것입니다.
Q. 산의 경우 단백질을 응고시킨다고 하는데요 왜 육류는 연화시키는 작용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산은 단백질의 구조를 변화시켜 응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계란이나 생선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산을 추가하면 단백질이 열을 가하지 않아도 응고가 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ㄴ디ㅏ. 이는 산이 단백질 분자의 표면에 있는 음전하를 중화시켜 분자 간의 수소 결합이나 기타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육류의 경우, 특정 조건에서 산이 단백질을 연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육류에 포함된 특정 유형의 결합이나 단백질 구조에 영향을 줌으로써 발생합니다. 육류에 식초나 레몬 주스와 같은 산성 성분을 사용하면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이 부분적으로 분해되어 육류가 더 부드러워집니다. 콜라겐은 고온에서 젤라틴으로 변환되는 경향이 있지만, 산은 이 변환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게 할 수 있어 결국 육류가 연해지는 효과를 가져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