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이은수 전문가
프리랜서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모란앵무새 알막힘인지 종양인지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위치에 따라 초음파 거사를 통해 확인할 수는 있고, 초음파 검사 이외에도 CT나 MRI 검사를 하면 쉽게 감별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날씨가 추워지면 이뇨 작용이 빨라 지는 이유가 있나요?
날씨가 추워지면 체온 유지를 위해 말초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상승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해 신장이 소변을 더 많이 만들어 이뇨 작용이 증가합니다. 이 과정은 몸의 체액 균형을 유지하려는 생리적 반응으로, 추운 날씨에서는 대체로 더 자주 화장실을 가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말티즈 노령견 유선종수술 시켜야될지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수술 여부의 결정은 종괴의 크기로 결정하는게 아니라 전이여부와 환자의 건강상태가 결정합니다. 동물병원에 데려가서 진료를 받으시고 수술 가능여부 평가 받은 후 결정해도 늦지 않습니다. 늦으면 죽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레들은 왜 불빛이있는곳으로 모이나요?
벌레들이 불빛으로 모이는 이유는 주로 항등각 비행이라는 행동 때문입니다. 이는 벌레들이 달빛처럼 일정한 방향의 빛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본능인데, 인공 조명처럼 가까운 강한 불빛에 혼란을 느껴 빛 주변을 맴돌게 됩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더 많은 벌레들이 활동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민들레 씨앗은 하늘 높이 올라가는데 어디까지 올라가는지 궁금합니다
민들레 씨앗은 보통 바람을 타고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류권의 낮은 층인 약 1~2km 높이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류와 바람의 세기에 따라 더 높이 올라가거나 멀리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Str 친자검사에 관련해 궁굼한게 있어요
네, 생판 남이라도 일부 유전자 항목이 일치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STR(짧은 반복 서열) 친자검사는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비교하며, 우연히 여러 항목이 일치할 수 있지만, 일치 비율이 높을수록 생물학적 관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12개가 일치하고 3개가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우연일 가능성이 매우 낮아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혈액형 판정 실험의 과학적 원리가 뭔가요
혈액형 판정 실험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A, B)과 혈장 내 항체(항-A, 항-B)가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응집 현상을 일으키는 면역학적 원리를 이용합니다. 특정 항원과 대응 항체가 만나면 적혈구가 응집되며 이를 관찰해 혈액형을 판정하는 방식입니다. 심화탐구로는 항원-항체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pH 등의 조건 변화나 희석된 항체 농도에 따른 민감도 차이 연구, Rh 인자 등 혈액형 외 다른 특성 탐구를 계획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배아줄기세포는 한국에서 발견되었나요??
배아줄기세포는 인간 배아에서 유래된 만능세포로,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줄기세포입니다. 배아줄기세포는 1981년 영국에서 생쥐 배아를 이용해 처음 분리되었고, 1998년 미국에서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처음으로 배양되었습니다. 2005년 한국에서는 황우석 박사팀이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로 주목받았으나,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며 논란이 있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신경전달물질 재흡수를 억제하면 부작용
신경전달물질 재흡수 억제제는 신경세포 간 신호 전달을 강화하여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지만,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메커니즘의 흐름을 완전히 막는 것이 아니라 신호 전달을 조절하는 수준으로 작용하며, 흔한 부작용으로는 소화불량, 불면증, 두통 등이 있으며, 드물게 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약물이 엄격히 검증된 용량과 용도로 사용된다는 전제하에 관리 가능하며, 부작용 발생 시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 주사마취, 피검사 몇일 후 피검사 다시 하는것이 강아지 건강에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검사를 위한 채혈시 뽑는 혈액 수준으로 건강에 문제가 되는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바로 검새해도 크게 무방합니다.
103610371038103910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