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이은수 전문가
프리랜서
반려동물 훈련
반려동물 훈련 이미지
Q.  개가 젖은 발을 핧아요 왜 그런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개과 동물의 입장에서 몸이 젖은 상태는 피부 질환과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좋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가족을 위해 발을 핥아줌으로서 젖은 상태를 해결해주는 일종의 애정표현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신부전 강아지가 일일 권장 칼로리 이상 먹게 되면?
신부전과 고혈압이 있는 강아지의 경우, 체중 증가가 필요하다면 일일 권장 칼로리보다 단백질 섭취량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신부전 환자는 고품질의 단백질을 적정량 섭취하여 근육 손실을 방지하고 체중을 회복해야 하며, 약간의 칼로리 초과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물론 적정수준이상의 산책과 같은 운동을 병행하지 않으면 먹은 단백질도 지방으로 축적되면서 신장에는 안좋은 영향이 있을 수 있으니 적정 수준이상의 운동이 필수입니다. 다만, 체중 증가가 이루어지는 동안 강아지의 혈압과 신장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수의사와 상담하여 식단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 귀종양 암일경우 사람에게 옮기나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그럴 가능성은 없습니다. 사람간에도 암이 전염되는 경우는 없는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다만 고름이 나오는 상태라면 고름속에 있는 세균들에 감염, 전염되어 염증성 질환을 유발할 수는 있습니다.
반려동물 훈련
반려동물 훈련 이미지
Q.  반려견 산책은 하루에 몇 번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산책의 최소 기준은 매일 아침저녁 하루 2회 이상입니다. https://diamed.tistory.com/m/525산책을 한다고 해서 5시간씩 나가서 질주하듯 돌아다니는게 나쁘다는것이지 최소 기준이상은 반드시 충족해줘야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슬개골 탈구가 소형 견종에게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슬개골 탈구는 모두 유전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개과 동물의 조상들에 비해 체구가 작은 아이들을 모아서 근친 교배로 만들어졌기때문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양치껌 대량 복용후 입원후 수치 변화 문의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수치보다 중요한건 임상증상인데, 단순 활력이 좋아 보이는것은 퇴원을 결정할 요소가 아닙니다. 식욕이 늘어나는지, 식욕이 늘어 밥을 먹고 구토나 설사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 하고 퇴원 여부를 결정하는걸 추천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침팬지는 하루종일 씹고 먹는다는데 왜 그런가요
침팬지가 하루 종일 음식을 씹고 먹는 이유는 주식이 나뭇잎, 과일, 견과류 같은 섬유질이 많고 소화가 어려운 식물성 음식이기 때문입니다. 이들의 소화기관은 식물성 섬유질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충분한 영양소를 얻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씹고 소화를 돕는 행동이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영장류라는게 무슨뜻이고 왜 영장류라고 하나요
영장류는 포유류의 한 분류로, 주로 높은 지능과 손가락, 엄지 등의 섬세한 움직임을 가진 동물들을 포함합니다. 영장류라는 명칭은 '우두머리'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영장류가 다른 동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 능력과 발달된 뇌를 가지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인간, 원숭이, 유인원 등을 포함하는 이 그룹은 진화 과정에서 시각, 운동 능력, 사회성 등이 발달하여 복잡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침팬지는 얼마나 비슷한가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침팬지는 생물학적, 형태학적 유사성이 있지만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약 400만년 전에서 200만년 전에 살았으며 직립보행을 했고, 두개골과 치아 구조에서 초기 인류로서의 특징을 보입니다. 침팬지와 달리 두 발로 걷는 해부학적 적응이 발달했으며, 뇌 크기도 침팬지보다 다소 큰 편입니다. 두 종은 공통 조상을 공유하지만,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인류에 더 가까운 진화 단계로 침팬지보다 인간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멧돼지가 산불등이 있을때 자기몸을 불에 비비는 행위는 왜 하나요
멧돼지가 산불이 나거나 불이 있을 때 불에 몸을 비비는 행위는 몸에 있는 기생충을 제거하려는 행동으로 보입니다. 불이 기생충과 해충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며, 멧돼지는 본능적으로 이 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118111821183118411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