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구르트 비피더스 세균 큰 제품 알려주세요. 사유는 400배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려구요. 슬라이드에 고정도 해야 되는데... 전문가님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비피더스균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려면 농도가 높은 제품이 유리합니다. 대표적인 비피더스균 제품으로는 "한국야쿠르트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이나 "빙그레 요플레 비피더스"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에는 충분한 양의 비피더스균이 포함되어 있어 400배, 100배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합니다. 슬라이드에 고정하려면, 그람 염색법을 사용하여 세균을 염색한 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 비피더스균을 키우려면, 일반적인 배양용 우유나 요거트 배양기를 사용해 온도(37°C 유지)와 청결을 관리하며 배양하는 방법이 있지만, 엄격한 멸균 환경이 필요해 집에서 하기에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Q. 음지 식물은 왜 양지 식물보다 광보상점 광 포화점이 낮나요?
음지 식물이 양지 식물보다 광보상점과 광포화점이 낮은 이유는 내부 성분과 잎의 구조적 차이가 모두 관련이 있습니다. 음지 식물은 낮은 광량에서도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엽록소의 양이 많고, 엽록체가 빛을 더 잘 흡수하도록 발달되어 있습니다. 또한, 음지 식물은 상대적으로 얇은 잎을 가지고 있어 빛이 깊숙이 투과되기 쉬우며, 잎의 표면적 대비 세포 밀도가 높아 광합성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반면, 양지 식물은 강한 빛에서 높은 광합성률을 유지하기 위해 두꺼운 잎과 상대적으로 낮은 엽록소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더 많은 빛이 필요합니다.
Q. 판다의 경우 육식에서 초식동물로 진화했다는데 이제는 육식자체를 익힌 고기라도 먹지 못하는 체질인가요?
판다는 과거 육식에서 주로 대나무를 먹는 초식동물로 진화했지만, 육류를 소화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판다는 여전히 육식동물의 소화기관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육류를 소화할 수 있지만, 대나무 위주의 식단으로 인해 소화 효율은 낮습니다. 따라서 육류 섭취가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실제로는 주로 대나무를 먹는 생활에 적응한 것이지 육류 섭취를 아예 못하는 체질로 변한 것은 아닙니다.
반려동물 건강
Q. 김포시에 우리나라최초 반려동물 공공의료제도를 처음시행 했다고 하는데 어떻게 운영되나요?
김포시에서 시행 중인 반려동물 공공의료제도는 전국 최초로 모든 시민의 반려동물에게 공공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김포시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는 운양역 근처에 위치하며, 반려동물의 기초 진찰, 상담, 내장형 동물등록, 예방접종 등을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되며, 시민들이 반려동물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건강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진료는 사전 예약제로 운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