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우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우혁 전문가입니다.
최우혁 전문가
대진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6월 2일 작성 됨
Q.
현재 지구의 과학기술로 우주 가장멀리까지 간 거리 또는 행성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 현재로써는 보이저1호가 가장 멀리간 무인 우주선입니다 보이저 1호는 현재 소행성대를 지나 아무것도 없는 우주를 탐험중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6월 2일 작성 됨
Q.
행성과 항성의차이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행성은 핵융합반응을 하지않으며 암석이나 다양한 기체로 이루어진 천체를 말합니다 항성은 핵융합반응을 하여 스스로 빛을 낼수있는 천체를 말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30일 작성 됨
Q.
태양은 공전도 없이 딱 중심에서 안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고 태양계 다른행성들도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을 합니다태양은 겉으로 보기에는 자전만 하는것으로 보이나넓게 본다면 우리은하 나선팔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공전이라기 보다는 다같이 한꺼번에 움직이는 거죠
전기·전자
2023년 5월 24일 작성 됨
Q.
무선충전은 무슨 현상을 이용하기에 무선으로도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인덕션과 비슷한 원리입니다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자기장이 생기는데 그 자기장은 전기적으로는 연결되어 있지않지만 자기적으로 연결이되어 코일에 걸리는 자기력에 의해서 전류가 다시끔 발생하게 되어 충전이 이루어 집니다변압기 1차측과 2차측 권선을 상상하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유도하다는 영어로 inductive 인데 인덕션도 이 단어에서 파생된것으로 보이며 무선충전기도 영어로 wireless charger 라기보다는 inductive charger 로 불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24일 작성 됨
Q.
일론머스크가 우주에서는 빛보다 빠르게 이동 가능하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일론머스크가 언제 그런말을 하였는지 모르지만 불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빛보다 빠르면 모든 물리법칙에 어긋난 상황입니다 광속에 가깝게 달리는것은 가능할지몰라도 광속보다 빠른것은 불가능합니다
전기·전자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골전도? 이어폰이라는건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는 파동이나 진동을 통해 달팽이관에서 감지하여 듣게 되는데요, 골전도 이어폰은 일반 이어폰과 다르게 뼈에 진동을 주어 달팽이관에서 소리를 감지시켜 음악이나 소리를 듣게 만드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5월 18일 작성 됨
Q.
전기공학과 전자공학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공학은 좀더 세밀한 부분을 다룬다고 보시면 됩니다 회로나 소자같은 부분이요 하지만 전기공학은 큰부분을 다룹니다 송전이나 발전기같은 부분을 말이죠
화학
2023년 5월 17일 작성 됨
Q.
수소 핵융합 반응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 핵융합 반응을 발견한 사람은 모르지만수소 핵융합 반응은 1000만k이상의 고온에서 발생 하게 됩니다 . 태양이 수소 핵융합 반응을 하고 있으며 고온에서 수소와 수소가 만나 헬륨을 만들고 E=델타mc^2에 의해 헬륨생성중 일정 에너지는 빛 에너지로 전환 됩니다 그리하여 태양이 빛을 낼수 있는거죠.
전기·전자
2023년 5월 17일 작성 됨
Q.
변압기의 과학적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A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속이 생깁니다자속은 보이지 않지만 자기력선의 방향에 따라 코일에서 흘러 나와 코일로 들어가게 되는데요그 흘러나온 자기력선을 이용하여 자기력선이 흐르는 곳에 B코일을 두게 되면 전기적으로는 연결이 되어있지 않지만 자기적으로 연결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전력전달이 이루어지려면 자기력선이 긴밀히 연결이 되어있어야 하기에 철심을 사용하여 철심 양쪽에 A,B코일을 연결해주어 결합을 시킵니다이러한 두 코일 한쪽에 전류를 흘려주면 철심내에 자속이 발생하고 기전력은 코일의 턴스(감은 횟수)에 비례 하므로 교류전압을 조절하여(승강압) 발생시킬수있습니더
전기·전자
2023년 5월 1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전기의 60[HZ]의 장점과 단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 일본은 50hz와 60hz를 동시에 사용중일겁니다 주파수에 따라 장단점이 딱히 명확히 있는것은 아닙니다 그저 미국이 60hz를 쓰기때문에 처음부터 그래와서 따라쓰는것 뿐이고요 독일에서 50hz를 쓰기때문에 다른나라들은 50hz주파수를 사용합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