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우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우혁 전문가입니다.

최우혁 전문가
대진대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도 땅이 있는지..아니면 거대한 기체 덩어리인지...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단순히 수소,헬륨,탄소로 이루어진 별 즉 항성입니다 기체로 이루어져있기에 만약 태양이 핵융합반응을 하지않게된다면 엄청난 압력에 의해 액체수소 바다 정도가 있을수있지만 발을 디딜수있는 땅은 없습니다 기체 덩어리이기 때문이죠
화학
화학 이미지
Q.  외국인들은 왜 눈동자 색이 다른가요? 유전요인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눈동자는 색소의 양에따라 바뀝니다 멜라닌 색소가 부족할때에 눈동자색이 파란색이나 노란색빛을 띄게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이제 8살된 조카가 먹는 젤리를 뺐어 먹었는데...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고체라고 불러야 맞습니다 젤라틴이라는게 돼지 껍데기를 생각하면 되는데요돼지껍데기가 액체는 아니지 않을까요액체는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하는데젤리를 가만히 놔둬도 흐르거나 특정한 상황이 아니면 모양이 변하지 않으니까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갑자기 초등 2학년생이 이런 질문을 하네요..대략 난감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속력은 말그대로 스칼라량입니다 스칼라는 방향이 없으며 단순히 물체의 빠르기를 나타낼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속력은 아이가 나중에 배울테지만 속력=거리/시간 입니다그리고 속도는 속력과 다르게 방향이 있습니다 벡터라고 합니다 거리를 변위라고 부르며속도=변위/시간 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야광이 깜깜한 밤에도 빛이 나는 이유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야광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물질의 전자들이 들뜬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들뜬상태를 유지하며 서서히 원래의 안정상태로 되는데 그러면서 에너지인 빛을 내보내면서 다시 어둡게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발전소에서 전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화력발전소같은경우 석탄을이용하여 열을발생시키고 그 열이 뜨거운 수증기를 만들어 터빈을 작동시켜 전기를 발생합니다수력발전소같은경우 댐에있는 물을 흘려보내어 터빈을 작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원자력발전소같은경우 핵분열을 이용하여 핵분열시 생성된 열이 물을 데워 열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과 화이트홀 그리고 웜홀에서 시간여행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론상 블랙홀에 근접하여 빛에속도로 지나치거나 가속한다면 가능합니다시간여행을 즉 미래로 간다는것은 상대적으로 시간을 늘려 가는것입니다빛의속도의 99.99% 가속한다고 가정하면 시간지연은 70배가 일어나며 상대방에겐 70년이라는 시간이흐르고나에겐 1년이라는 시간이 흐른셈이 됩니다 과거로 갈순없지만 이런방식으로 미래로 갈수있으며,빛의속도에 더욱더 최대한 근접할수록 시간지연은 비약적으로 늘어날것입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정말 큰 소리로 유리를 깰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질마다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고있는데 우리가 목소리를 낼때도 주파수의 형태로 나오게됩니다물리학에서 주파수가 같으면 중첩의 원리에따라 그 주파수가 커지게되는데 유리의 주파수와 목소리가 겹치면서 물건에서 나오는 주파수를 높여 깨트리게되는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매질이없으니까 소리가안들리는데 블랙홀소리는 어떻게 들은거죠?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의 소리를 전파망원경을 통해 관측한것으로 보입니다일반적인 우리가 알고있는 허블우주망원경같은 우주 망원경으로는 블랙홀을 관측하기 어려우며지구촌 곳곳에 설치한 거대한 전파망원경으로 블랙홀에서 나오는 전파를 수신하여 시각화하였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전파 망원경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전파망원경은 일반 망원경처럼 실제로 관측하것이아닌 우리 지구행성 곳곳에 거대한 전파를 받아들이는 송신탑같은것을 세워 아주 멀리있는 별들에서 뿜어져 나오는 전파를 한번에 받아들여 이 전파를 시각화 하는 장치입니다망원경의 크기는 한계가 있고 받아들이는 정보의 양이 무한정하지 않다보니 이러한 방법으로 망원경을 만든겁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