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치아 치료시 재료들의 차이점은 ? 어떤 재료가 제일 좋은지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어떤 치료를 하느냐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가 다를 수 있고, 그 양이 너무 방대하여 일부만 요약합니다.- 아말감 : 아말감은 보험적용되는 재료이며 수은 합금으로, 아말감이 주변 치아의 상아세관으로 아말감의 성분이 스며들게 되어 아말감 주위에서는 충치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오랜 기간 성공률이 높은 좋은 재료입니다.하지만 치아와 접착하는 재료가 아니라 재료 충전과 유지를 위해 치료해야 하는 범위보다 치아를 더 많이 삭제해야 하고, 아말감으로 떼운 치아 주변에는 잔균열이 가거나 깨지는 경우가 많으며, 추가적으로 치료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치료 범위가 커지거나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오염문제로 인해 아말감을 사용하는 치과가 많지 않아, 아말감 치료를 원하는 경우에는 미리 아말감 치료가 가능한 치과를 찾아봐야 합니다.- GI(Glass Ionomer) : 보험적용되는 재료로 치아와 접착을 하고 하얀색을 띄며 불소를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추가적인 충치를 예방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치아색에 가까운 하얀색이 아닌 분필색에 가까운 하얀색을 띄며 접착력이 약하고 강도가 약하여 잘 떨어지거나 깨질 수 있어 미체누출로 인한 추가적인 충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레진 : 치아와 접착하는 접착성 재료로 GI보다 접착력이 높아 치아와 접촉을 통해 충분히 유지가 되기 때문에 치아 삭제가 적어지는 점과, 치아 색과 유사하여 심미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강도 역시 적절하여 치아의 마모에 따라 레진도 마모되어가는 장점이 있습니다.하지만 보험적용이 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비싸며(만12세 이하의 영구치에서는 일부 보험적용 가능),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변색이나 접착 실패로 인한 미세누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금 : 충치 범위가 보다 커져서 떼우는 치료보다는 본을 떠서 간접적으로 수복이 필요할 때, 혹은 치아를 완전히 덮어 씌울 때 인레이나 크라운의 형태로 사용합니다. 금은 치과 재료 중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재료로, 무른 금속이기 때문에 씹는 작용에 의해 어느정도의 변형을 허용하여 치아 적합도가 가장 좋습니다. 원소주기율표에서 반응성이 낮은 원소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 각종 이온들과 반응하여 부식되는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습니다.하지만 금을 원료로 사용하므로 비싸고 개인에 따라 심미적으로 느낄 수도 있고 비심미적으로 느낄 수도 있습니다.- 지르코니아 : 생체친화적인 재료로 구강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강도가 뛰어나여 마모에 강합니다. 또한 치아색을 띄어 심미적입니다.기본적으로 도자기 성분이므로, 강도가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두께가 필요합니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치아의 삭제량이 많을 수 있습니다. 씹는 힘에 대하여 강하지만, 측방력에는 다소 약하여 깨질 수 있습니다.강도가 뛰어나 강한 장점이 있는 반면, 치아보다도 강도가 커서 맞물리는 치아의 마모를 유발할 수 있으며 가격은 금과 비슷합니다.그 외에도 치료 종류에 따라 여러 재료들이 있으며 이를 다 적기에는 무리가 있어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재료 위주로 답변을 마칩니다.
Q. 임플란트를 하면 보통 몇년정도 사용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임플란트는 반영구적인 시술이기는 하지만, 영구적인 것은 아닙니다.임플란트 주변에도 원래의 치아와 마찬가지로 음식물 찌꺼기가 잔류할 수 있고,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치태가 침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잇몸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잇몸 염증의 발생, 회복이 반복되면서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주염이 발생 하여 임플란트가 흔들릴 수 있고 이경우에는 임플란트를 뽑아야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때문에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치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면 충분히 오랜 기간 잘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사용 중 임플란트가 깨지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시점에 따라 무상으로 교체가 가능할 수도,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다만 기간에 대한 부분은 치과마다 다르기 때문에 담당 치과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Q. 임플란트의 유효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임플란트는 반영구적인 시술이기는 하지만, 영구적인 것은 아닙니다.임플란트 주변에도 원래의 치아와 마찬가지로 음식물 찌꺼기가 잔류할 수 있고,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치태가 침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잇몸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잇몸 염증의 발생, 회복이 반복되면서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주염이 발생 하여 임플란트가 흔들릴 수 있고 이경우에는 임플란트를 뽑아야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때문에 치아에서와 마찬가지로 양치 및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하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면 충분히 오랜 기간 잘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물론 연구에 따라 평균적인 수명이 10년 정도로 보고된 것도 있기는 하지만, 개인의 식습관, 구강위생 관리 능력 등에 따라 수명이 짧아질 수도 있고, 10년 이상이 지나도 문제 없이 오래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보통 임플린트 치료 후에는 6개월마다 정기검진이 추천되므로, 열심히 관리하고 정기검진 때마다 상태를 체크한다면 반영구적으로 오래 사용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