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크라운 보철을 하지 말고 바로 임플란트로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크라운 치료 후 해당 치아의 뿌리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1. 해당 치아가 이미 신경치료된 치아라면, 시간이 지나고 재감염이 발생하여 뿌리 끝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신경치료가 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라면, 어떤 원인으로 해당 치아에 문제가 발생하여(크라운 안쪽으로 충치, 치아 크랙, 외상 등) 신경에 감염이나 괴사가 발생하여 뿌리 끝에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3. 해당 치아의 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아 잇몸염증이 치주염으로 진행되고, 계속 방치되는 경우입니다.여러 원인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이런 증상들이 크라운치료를 한 모든 치아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비율로 따져도 높지 않습니다.임플란트치료 역시 영구적인 치료가 아니며, 구강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으면 극단적으로는 임플란트도 흔들려서 뽑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때문에 뽑지 않아도 되는 치아를 뽑고 임플란트를 하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 치료 방법이며(치료라도 부를 수도 없습니다), 누구의 의견인지는 모르겠지만 "자기가 관찰하기론 대부분 나중에 크라운 씌운 뿌리가 녹는다 하던데"라는 말은 의학적 근거가 전혀 없는 주장입니다.
Q. 임플란트 기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어금니를 발치한 상태로 방치할 경우 발생 가능한 몇가지 문제점들만 짚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 발치한 부위의 치조골이 기능을 하지 않으므로 점점 흡수되어 뼈의 폭이 좁아지고 높이가 낮아집니다 .이로 인해 차후 임플란트를 식립할 시에 추가적으로 더 많은 뼈의 이식이 필요할 수 있고, 극단적으로는 해당 부위의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2. 발치한 치아 옆의 치아가 발치 공간쪽으로 쓰러집니다. 때문에 차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추가적으로 교정적인 치료나 옆 치아의 치료(좁아진 양에 따라 갈아내는 것부터 크라운 치료 및 신경치료까지 가능성이 있습니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3. 발치한 치아와 맞물리는 치아가 맞물리는 치아가 없을 경우 지속적으로 올라오게 되어 차후 임플란트 식립시 충분한 높이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도 위와 같이 크라운, 신경치료 등의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될 수 있습니다.4. 어금니 하나씩이 없는 상태로, 한개씩 남은 나머지 한개의 어금니가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큰어금니는 상하좌우 각 부위에 2개씩 있어, 씹는 작용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치아입니다. 하지만 그 중 하나가 없어지게 되면 힘이 분산되지 않고 남은 한개의 치아에 힘이 집중됨으로 인해 그 치아 주위의 잇몸염증이 발생하기 쉽고, 치아의 파절이나 금이 가는 등의 손상을 가져오기 쉽게 됩니다.가장 흔하게 발생되어 치과에 내원하는 경우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때문에 가급적 빠르게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낮추는 길이라 생각됩니다.임플란트 치료에 걸리는 시간은 해당 치아나 전체적인 구강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해당 부위의 뼈가 건정하여 임플란트 식립이 바로 가능한 경우에는 3개월 정도의 치료기간이 소요되나, 치조골의 심한 파괴가 있던 경우에는 뼈이식을 먼저 해 두고 회복을 기다린 후에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6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등, 상태에 따라 치료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