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찬물을 마셔도 신김치를 먹어도 찡해나며 시린증상이 있읍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시리다고 내원하시는 경우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잇몸염증이나 치주염으로 잇몸이 들뜬 경우 - 잇몸이 부어 치아와의 접촉이 약해짐으로써 치아 뿌리에 자극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이나 필요시 잇몸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2.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3.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 - 이런 경우에는 대개 질긴 음식을 씹을 때나 시거나 단 음식을 먹을 때 시큰한 통증이나 찌릿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단순히 잇몸이 좋지 않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시린 경우에는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치주염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치아에 이상이 생겨 예민해진 경우 초기에는 찬물에 시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는 반응이 없지만(급성 치수염), 신경이 점점 변성되어 가면서 점점 찬물에 대한 반응은 약해지고 뜨거운 물에 대한 반응이 커질 수 있습니다(만성 치수염). 급성인 경우에는 단순히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ex. 떼워주는 등의 치료) 치료가 종결되지만, 만성 치수염의 경우 자극을 제거하더라도 신경이 변성되어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Q. 치과 치료중 예전에 진료 받은 골드레이 돌려 봤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1. 골드인레이를 한 지 오래되었다고 해서 갈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오래되었더라도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교체할 필요는 없습니다.2. 하지만 인레이 주변으로 치아가 깨졌거나 추가적인 충치가 생긴 경우 등, 다시 치료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존의 인레이를 제거하게 됩니다.3. 이렇게 제거된 인레이는 환자에게 돌려주게 되며, 금거래소 등에서 금값을 받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4. 만약 금인레이를 받지 못했다면 치료 후에 인레이를 가져간다고 재차 말씀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Q. 충치가 있다면 무조건 치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충치가 치아 가장 바깥쪽에 국한되어 정지된 상태인 정지우식은 당장 급한 치료는 할 필요가 없지만, 작은 크기의 충치라도 현재 진행중인 충치는 바로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정지 우식(충치)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층(법랑질)에 한정되어 있으면서 더이상 진행이 되지 않거나 아주 천천히 진행되는 충치를 말합니다.초반에 충치가 발생하였다가, 이후로 위생관리가 잘 되면서(특히 칫솔에 의해 잘 닦이게 되면서) 그 상태로 더이상 진행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진행중인 충치는 치아의 구조를 파괴시키기 때문에 치아가 푸석푸석하면서 긁혀 나오고 황색이나 갈색의 색을 띕니다.정지 우식은 다시 재광화 된 경우가 많아 단단하고 긁혀나오지 않으며 검정색을 띕니다.하지만 육안 소견만으로는 현재 진행중인 우식과 정지우식을 구분하기는 쉽지 않으며, 방사선 사진으로 우식 하방으로의 진행이 되었는지, 긁혀 나오는지, 저번 검진때와 크기와 깊이에서 진행되고 있지 않은지 등을 종합적으로 보아 판단합니다.정지우식도, 해당 부위의 위생관리가 다시 좋지 않아진다면 언제든지 다시 충치가 진행되므로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확인을 위해 무리한 힘으로 해당 부위를 파괴할 경우 충치가 진행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충치 치료시 치료 방법이나 재료는 충치에 이환된 부위와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보통 레진이나 아말감, 글라스아이오노머(GI) 등의 재료로 충전을 하고, 크기가 크고 옆면까지 이환된 경우에는 인레이 치료를 하며, 그보다도 크기가 큰 경우에는 크라운 치료를 하게 됩니다.때문에 단순히 충치가 있다는 것 만으로는 치료를 해야하는지 말아야하는지, 혹은 어떤 재료로 해야하는지의 판단은 어려우며, 구강내 검사와 방사선 사진 검사를 통해 치료를 결정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