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신경외과
Q. 치매 초기증상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으로 손상이나 파괴되어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을 말합니다.치매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알츠하이머,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 알콜성 치매 등이 있습니다.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1) 기억장애는 가장 초기 증상으로,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하거나 최근의 일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보이며 오히려 오래된 기억은 비교적 잘 유지됩니다.2) 공간지각장애와 실행증이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길을 잃기 쉽고 물건을 잘 잃어버리고 물건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3) 치매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을 잘 못알아보기 시작합니다. 또한 이전에 잘 하던 활동들에 대해 눈에 띄게 관심이나 흥미를 잃은 것 같아 보일 수 있습니다.예방을 위해서는 매일 유산소 운동을 하고, 채소, 과일 등의 죄에 좋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음주와 흡연을 피하고 독서나 계산 같은 뇌활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치아상태 또한 뇌건가엥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구강건강에도 심써야 하며 시력이나 청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코로나 백신 얀센 접종 예정인데 나이에 따라 부작용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같은 백신을 맞더라도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사람마다 면역체계 면역력, 기저질환과 만성질환, 나이와 성별 등 차이가 있어, 부작용의 종류와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하지만 나이에 따라 부작용이 다르지는 않으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부작용으로 접종한 부위이 붓거나 발적,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전신적인 발열과 메스꺼움 및 근육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로감과 두통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보통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얀센 백신도 AZ백신과 마찬가지로 접종 후 혈전사례가 보고되어 있습니다.백신 접종 후에 점점 두통이 심해지거나 시야장애가 생기는 경우에는 뇌정맥동 혈전의 가능성이 있지만, 조기에 진단한 경우에는 사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39도 이상의 고열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며 일상생활이 힘들정도로 이상증상이 나타날 때- 부기나 발적, 통증이 3일이 되어도 전혀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접종 후 호흡곤란, 흉통, 복부 통증, 다리가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접종 후 심한 두통이나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의해 호전되지 않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접종 부위 외에 멍이나 출혈이 생기는 경우
Q.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맞고 바로 샤워 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통 백신 등의 주사를 맞은 당일에 샤워를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주사를 맞을 때 해당 부위에 주사 바늘로 인한 상처가 발생하게 되고, 샤워를 하면서 해당 상처를 통해 2차적인 세균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샤워를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 것입니다.물론 해당 상처를 통한 세균감염의 위험이 낮기는 하지만, 어쨌든 가능성이 있어 고지의무를 다하는 것이라 하겠습니다.때문에 샤워를 했다고 하더라도 특별히 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갑자기 이상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다만 백신 접종 후 운동은 면역 반응을 떨어뜨려 충분한 항체가 생기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삼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응급실에 갔는데 응급이 아니라고 의료보험이 안된다는데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밤 11시라도 지역에 따라 24시간 또는 24시까지 운영하는 병의원들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응급실 내원 이전에 해당 병의원에 내원할 수 있으나, 해당 지역에 야간/심야에 운영하는 곳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는 어쩔 수 없이 응급실로 내원하게 됩니다.2. 응급실에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응급상황은 간단하게 요약하면 환자의 생명과 관련되거나 중증환자의 상태를 확인/점검하는 항목입니다.또한 보험이 적용되는 경우라 해도, 전체 항목에서 적용되는 경우보다는, 예를 들어 급성 복통으로 내원하여 원인 파악이 어려워 CT촬영을 시행한 경우 전체 진료비가 보험이 되는 것이 아니고 CT촬영에 대해 보험적용이 되는 것입니다.(검사 후 진단에 따라 전체 보험이 인정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