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942년 허난 대기근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2년 허난 대기근은 허난에서 일어난 기근으로, 원인은 많지만 1938년 황허 홍수의 영향이 제일 크다고 합니다중일전쟁과 홍수, 각종 재해로 허난의 수확량은 절반이 되었고, 1년 간 300만 명이 죽었다고 하네요.그 당시 중국 정부는 기근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제대로 실행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왜냐하면이 당시 지역 관리들이 이 피해 상황을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고, 또한 다른 지역으로 소문이 번져 민심이 흉흉해지고 문책되는 걸 두려워한 것으로 보여집니다.여기에 정부는 주민들의 생존을 위한 식량도 쓸어가는 바람에 이들은 토지, 가족까지 팔았고, 결국 저항이 일어나 1945년 이후 중국의 수확량은 절반이 되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서울의 북대문을 숙정문이라고 이름지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실록』에 한양의 성문 축성 기록이 자세하게 나오는대요. 조선은 유교의 ‘오상(五常)’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본떠 사대문의 이름을 흥인, 돈의, 숭례, 숙청으로 지었고 신(信)은 보신각(普信閣)에 붙였다고 합니다.그런데 질문자님의 질문처럼 북문만 예외인대요. 원래 숙종 때 ‘홍지문(弘智門)’으로 세워졌는데 백성들이 지혜로워질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이름이 바뀐 것으로 보입니다.숙정문은 원래 숙청문으로 북은 음(陰)이라 숙청문을 열면 장안의 여자들이 음란해지므로 항상 문을 닫았다는 속설도 있었다고 합니다. 숙청문은 조선 중기 이후 숙정문(肅靖門)으로 바꿔 불렸다고 합니다.미흡하나마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느닷없이에 쓰이는 '느닷'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말씀처럼 '느닷'은 '느닷없이'에서 파생된 단어로, 예상하지 못하게, 갑자기, 뜻밖에라는 의미로 쓰입니다.느닷없이는 어떤 일이 예고 없이 발생한다는 뜻으로 사용되며, 이 때 '느닷'은 주로 갑작스럽게 일어난 상황이나 사건을 강조하거나 설명할 때 사용된다로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예멘은 분단국가였는데 어떻게 통합이 되었으며 왜 지금도 불안정한 체제를 유지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일 이전 예멘의 남부는 사회주의 체제를 가졌고, 북부는 자유 시장 경제를 가진 자본주의 체제를 가졌기 때문에 통합 과정에서 이러한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협상이 진행되었습니다.남북 예멘은 1990년 5월에 통일 협상을 시작했으며, 5월 22일에 남북 예멘 통일 공화국이 선포되었고 남부의 수도는 아든으로 변경되었습니다.그러나 1994년에는 통일된 정부의 내부 갈등으로 인해 남북 간의 갈등이 재발하였는데 이는 북부의 정부가 남부의 요구에 부응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통일 후 예멘은 199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정치 세력이 국가를 통제하려는 시도와 충돌이 있었는데 특히 후티반군은 주로 샤이트 이슬람 계열에 속하는 군사적인 그룹으로, 남부 지역에서 군사적 활동을 전개하며 통일 정부에 반대하고 있습니다.또한 외부 간섭과 국제적인 갈등 또한 지속적으로 예멘의 불안정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이슬람 국가 내부에서 일부 과거로 회귀하자는 이러한 신념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 세계에서 7세기의 과거로 회귀하자는 신념은 시작은 종교적으로 몇몇 이슬람 교리자들이 초기 이슬람 시대를 순수하고 이상적인 이슬람의 모델로 여기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이슬람이 초기 시대의 가르침과 생활 방식을 따르는 것이 진정한 신앙의 표현이라고 믿고 있다고 합니다.또한 일부 이슬람 국가에서는 서양 문화와 가치에 대한 반감이나 저항으로 7세기의 이슬람 문화를 회귀하자는 움직임이 생기고 있다고 합니다.이슬람 세계에는 다양한 종파가 존재하며, 각 종파는 고유한 역사, 교리 및 실천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종파 간의 차이로 인해 과거로의 회귀에 대한 접근도 다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일부는 역사적인 이슬람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 다른 종파는 현대적인 여러가지 체계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